정부, SAF 의무화 도입 골자로 한
‘SAF 확산 중장기 전략’ 발표 예정
업계 세액공제율 3%→15% 주장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정부가 이달 말 지속가능항공유(SAF) 의무화 도입을 골자로 하는 SAF 확산 중장기 전략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유업계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업계는 올 초 석유·석유대체연료 사업법 개정에 이은 정부의 지원 확대 의지를 반기고 있지만 투자세액공제 확대 등 보다 적극적인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0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SAF 시장은 불과 3년 뒤인 2027년 현재의 20배 안팎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지역에서만 196조원 규모의 시장이 열릴 것이라는 관측이다. SAF는 석유·석탄 등 화석연료가 아닌 폐식용유·생활폐기물 등 대체원료로 생산한 항공유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기존 항공유보다 80%가량 적어 항공분야 핵심 탄소감축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시선을 2050년으로 돌리면 성장성은 더욱 뚜렷하다. 글로벌 SAF 수요는 현재 연간 항공유 수요 수준인 4000억톤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각국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SAF 활용을 늘리고 있어서다. 실제 미국은 2050년까지 항공유를 100% SAF로 대체하기로 했고 유럽연합(EU)은 SAF 의무 사용률을 70%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SAF 시장을 누가 선점하느냐에 따라 향후 항공유 시장 내 입지는 달라질 수 있다. 전 세계 항공유 수출 1위국인 우리나라로서는 SAF 시장 대비가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정부가 그간 SAF 확산 전략을 고민해 온 것도 우리나라 수출에 있어 항공유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정유사는 원유수입액의 60%가량을 70여개국에 수출하고 있는데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3년 기준 8.2%로 반도체·자동차·일반기계에 이은 4위다.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지난달 석유업계 조찬 간담회에서 “지속가능항공유 사용을 확대하는 것은 한국 석유산업의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산업부는 이달 말 국토교통부와 공동으로 SAF 확산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달 초 개정 석유사업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SAF 생산의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됐다는 점은 긍정적인 신호다. 국내 정유사가 석유 정제 제품만 생산·판매하도록 제한했던 빗장을 푼 것이다.
다만 미국, 일본 등 경쟁국이 과감한 현금 기반의 지원책을 추진하고 있는 데 비해 우리나라의 지원 정책은 여전히 미비하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지적이다. 업계는 SAF 설비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와 SAF 생산·사용 관련 차액보조 등 인센티브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SAF 생산설비 구축을 위해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만큼 국가전략기술 지정을 통해 세액공제율을 15%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는 신성장원천기술로 지정돼 3%의 공제 혜택을 받는다.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쓰오일(S-OIL), HD현대오일뱅크 등 정유사는 SAF를 신성장동력으로 점찍고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다. SAF를 포함한 친환경 연료 분야에만 2030년까지 총 6조원을 쏟아 부을 계획이다.
SK이노베이션은 2027년까지 울산콤플렉스(CLX) 내 SAF 생산설비를 구축할 방침이다. 2022년 폐기물 가스화 기술을 확보한 미국 펄크럼 바이오에너지에 2000만달러를 투자했고 폐자원 기반 원료업체인 대경오앤티에도 투자하며 SAF 원료를 확보했다. 올해 말 SAF 생산 시운전에 나설 계획이다.
GS칼텍스는 대한항공과 손잡고 지난해 9월 국내 최초로 SAF 공급 및 실증 시범운항을 진행했다. 내년 2분기 생산을 목표로 포스코인터내셔널과 인도네시아 칼리만탄에 바이오원료 정제시설을 건설 중이다. GS칼텍스는 이곳에서 연간 50만톤의 바이오원료를 생산할 예정이다.
HD현대오일뱅크는 지난달 국내 최초로 기존 정유 설비에 바이오 원료를 함께 투입해 생산한 SAF 제품 수출에 성공했다. 올해 대상공장 내 연산 13만톤 규모의 바이오디젤(BD) 공장을 짓는 것을 시작으로 관련 투자를 확대해 2025년 이후 연산 50만톤 규모의 SAF 공장을 완공하겠다는 방침이다.
S-OIL은 규제 샌드박스 특례승인을 받아 기존 정유 공정에 폐식용유 등 바이오 원료를 투입해 SAF 제품을 생산하는 실증을 추진 중이다. 국제항공 분야에서 SAF 생산을 공식 인증하는 ISCC 탄소 상쇄·감축제도(CORSIA) 인증도 획득했다. 아울러 SAF 전용 공장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