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美, 중국에 HBM 공급제한 검토”
SK하이닉스·삼성전자 등 韓 기업 겨냥 해석
美 마이크론은 이미 HBM 중국 수출 안 해
[헤럴드경제=김현일 기자]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 열풍으로 특수를 누리고 있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중국에 공급하지 못하도록 통제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기업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 미국 기업 마이크론은 중국에 HBM 제품을 판매하지 않고 있어 업계에선 사실상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를 겨냥한 조치로 해석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8월 중 발표될 새로운 대중(對中) 반도체 통제 조치에 HBM2, HBM3, HBM3E 등 최첨단 AI 메모리 반도체와 이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장비가 포함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다만 미국 정부가 최종 결정을 내린 단계는 아니라고 덧붙였다.
HBM은 D램을 여러 층으로 쌓아 올린 형태의 메모리다.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 AI 서버처럼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현재 공급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품귀현상을 빚고 있는 상황이다.
HBM 시장은 SK하이닉스를 필두로 삼성전자와 마이크론 등 메모리 3사가 뛰어들어 치열한 기술 경쟁을 펼치고 있다. 다만 마이크론은 앞서 중국 정부가 주요 공공시설에서 마이크론 반도체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린 이후 중국에 HBM 제품을 판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이 중국을 겨냥한 반도체 수출통제 조치에 HBM을 포함할 경우 영향을 받는 건 결국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되는 셈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HBM 시장 점유율을 합치면 90%가 넘는다.
앞서 지난 6월 12일에도 미국 바이든 정부가 HBM 등 AI 반도체 기술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추가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는 현지 보도가 나오면서 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아직 규제 가능성만 언급되고 있는 단계인 만큼 향후 실제 규제 내용과 방식이 공식 발표되기 전까지는 예단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블룸버그는 한국 기업을 겨냥한 규제 방식으로 해외직접제품규칙(FDPR)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FDPR은 미국의 기술이나 장비를 조금이라도 사용한 외국산 제품에 대해 통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모두 미국 반도체 장비 기업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의 기술을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는 만큼 FDPR이 실제 적용되면 피해가기 어려운 상황이다.
블룸버그는 이같은 내용의 조치가 시행되면 중국 기업에 HBM을 직접 판매하는 것은 금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AI 가속기와 함께 묶여 공급되는 HBM의 중국 판매가 허용될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중국 판매가 허용된 엔비디아의 AI 가속기 H20에 HBM3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최근 알려졌다.
앞서 엔비디아는 미국의 수출통제로 최고 성능인 A100과 H100 판매가 막히자 사양이 낮은 A800과 H800을 중국 수출용으로 따로 만들어 수출해왔다. 그러나 미국이 이마저도 제한하자 다시 사양을 더 낮춘 H20을 만들어 중국 기업에 판매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규제로 인해 중국의 첨단 반도체 기술 발전이 정체돼 우리가 반사이익을 얻는 측면도 있겠지만 HBM 판매 제한처럼 직접적인 수출규제 조치는 부정적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에서 한국을 비롯한 동맹국은 제외될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밝혔다. 앞서 로이터통신도 미국 정부가 다음달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를 강화할 예정이지만 한국, 일본, 네덜란드 등은 예외로 분류돼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