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허벅지 앞 쪽과 무릎에 통증과 저림 증상이 있어 마사지를 받아왔던 강모 씨(54세)는 3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꾸준한 치료에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자 병원을 찾았다. MRI검사와 의사 진료를 받은 결과 ‘척추 전·후방 전위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강 씨는 “무릎 통증이 있어 간단하게 다리쪽에 문제인가 했는데 원인이 허리에 있었다니 괜히 헛다리를 짚어 치료시기만 늦어진 것 같다.”며 속상함을 토로했다.
강모 씨가 진단 받은 ‘척추 전·후방 전위증’은 척추를 구성하는 인대, 관절 혹은 척추 뼈의 구조가 약해지거나 결손으로 안정성이 무너져 일부 척추의 배열이 앞 또는 뒤로 빠지는 질환을 말한다. 뼈가 어긋난 부위에서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을 눌러 마치 척추관 협착증이나 디스크 질환과 같은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척추 전·후방 전위증이 발생하면 허리 뿐만 아니라 다리·엉치·고관절·발목 등에도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종아리 근육경련(쥐)과 발바닥에 열감, 저림증상 또는 남의 살 처럼 느껴지는 등 여러 증상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척추 전·후방 전위증 환자의 경우 다른 부위에 통증을 느껴 그 곳에 치료를 집중하다가 정작 허리 치료의 적절한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척추 전·후방 전위증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다.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신경차단술, 신경성형술 등의 비수술적 시술을 고려할 수 있다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신경차단술, 신경성형술 등의 비수술적 시술을 고려할 수 있다.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했음에도 차도가 없거나, 통증 때문에 5분 이상 걷기 힘들고 쉬었다 가야 겨우 걸을 수 있는 수준(파행)까지 이르렀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웰튼병원 척추센터 임우정 진료과장은 “척추 전·후방 전위증의 경우에는 척주 협착증에 적용하는 후방 감압술만으로는 수술이 불충분하고, ‘추체간 유합술’이라는 수술법으로 척추의 배열 자체를 교정해주어야 한다.”며 ‘후방 경유 추체간 유합술’의 경우 피부 절개, 근육 박리 및 척추 뼈 뒷 부분(후궁)을 다수 제거해야했기 때문에 출혈향이 많고 통증도 심했는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탄생한 수술법이 바로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술(OLIF)’이다.”고 말했다.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술(OLIF)’은 최소 침습으로 옆구리를 4~5cm 수준만 절개한 뒤 진입하여 추체간 유합을 하고 작은 구멍을 통해 경피적 스크류 고정술을 시행하는 수술법이다. 때문에 신경막 손상 위험이 매우 적고, 상대적으로 크고 경사진 인공디스크를 삽입할 수 있어 교정에 유리하며, 척추의 후방 구조물을 거의 건드리지 않아 통증과 출혈이 적어 더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임 과장은 “척추전위증이 있다 하더라도 모든 환자에게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정밀한 검사결과에 근거한 전문의 상담을 통해 환자 본인에게 맞는 최선의 방법으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척추 전·후방 전위증 예방을 위해서는 허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 요소를 줄이고 정기적인 운동으로 허리 주변 근육을 키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꾸준한 허리 강화 운동을 통해 근육이 허리의 부담을 대신 할 수 있도록 해야 척추 건강을 지킬 수 있다. 다리를 꼬거나 엉덩이를 앞으로 빼어 앉는 등 허리에 안 좋은 자세는 삼가야 하며, 한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것도 좋지 않다. 또한 허리부담을 줄이기 위해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는 노력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