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투자 관련 기사에 심심찮게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뜻풀이는 되어 있지 않아 한번쯤 궁금하셨을 수도 있는 용어에 대해 알려드릴까 합니다. 사실 자세히 알지 않아도 대략의 의미만 알고 있다면 투자뉴스를 읽는데 큰 불편함은 없겠지만, 상식 차원에서라도 알고 계시면 좋지 않을까 싶어 준비했습니다. 꼬리위험(tail risk)과 헤지(hedge) 그리고 중립(neutral)을 차례로 말씀드리겠습니다.
▶가장 먼저 '꼬리 위험'(tail risk)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꼬리 위험에 대한 헤럴드경제 기사를 검색하니 아래와 같은 설명이 붙었네요
[한국은행이 실물경제는 부진하고 자산시장만 팽창하는 현 상황이 지속된다면 우리 경제의 꼬리 위험(Tail Risk·일어날 가능성이 작지만 일단 발생하면 큰 충격을 주는 리스크)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2020년 9월 24일 헤럴드경제)
2008년 금융위기가 대표적인 '꼬리위험'이 현실화된 사례입니다.
그런데 왜 '꼬리'라고 하는 것일까요?
통계학적으로 일반적인 집단은 정규분포를 가정합니다. 평균을 중심으로 변수들이 몰려 있다는 것입니다. 정규분포는 영어로 normal distribution입니다. 말 그대로 normal 하죠.
쉬운 예로 키 분포를 들어보죠. 대한민국 성인 남성의 평균 키는 172.5cm라고 합니다. 키가 199cm나 150cm인 남자는 172.5cm인 남자에 비해 찾기가 어렵습니다.
이 평균(μ)을 중심으로 흩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게 표준편차(σ)입니다. ±1σ에 전체 집단의 68.3%가 몰려 있습니다. ±2σ에는 95.4%가, ±3σ에는 99.7%가 분포돼 있습니다.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는 정말정말 드물다는 뜻입니다. 주변을 둘러보세요. 172cm 언저리의 남자들은 정말 많지만 199cm나 150cm인 남자는 찾기 어렵잖아요.
특히 주식시장의 경우 +3σ보다 위쪽은 그만큼 수익이 예상을 뛰어넘어 드물게 아주 좋게 나오는 경우이니 흔치 않다고 해서 나쁠 것이 없습니다.
문제는 -3σ 보다 아래인 부분, 즉 그림에서 빨간색으로 칠한 부분입니다. 정말 예상치 못한 막대한 손실이 난다는 의미입니다. 이 부분의 모양을 잘 보면 정규분포 곡선의 '꼬리'처럼 생겼습니다. 그래서 이름이 '꼬리 위험'인 것입니다.
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져서 변동성이 높아지면 이 꼬리 부분이 더 두꺼워집니다. 그럴 때는 fat tail risk라고 합니다. 꼬리가 두꺼워졌다는 의미입니다.
김우영 기자/CFA
#헤럴드경제에서 증권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CFA 자격증을 취득한 뒤 CFA한국협회 금융지성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해야 하는 기자로서 사명감에 CFA의 전문성을 더해 독자 여러분께 동화처럼 재미있게 금융투자 뉴스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