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6월 기준 6만여명 이미 사망…생존자도 절반 이상 80세 넘어
정부는 남북이 25일 고위당국자 접촉에서 추석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합의함에 따라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 통일부 관계자는 “남북 합의에 따라 관련 부서에서 바로 준비에 들어갔다”며 “명단교환과 생사확인 등 실무준비에 한달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 준비 작업은 박근혜 대통령이 제70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연내 남북 이산가족 명단을 교환하자고 제안한 데 따라 통일부가 다음달 중순까지 추진 중인 남한 이산가족 6만여명의 현황 파악과는 별도로 진행되게 된다.
남북이 고위급접촉에서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합의한 것은 양측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우리 측은 이산가족 문제가 인도적 차원인 데다 당사자들이 고령이라는 점에서 시급히 해결돼야 할 문제라고 보고 이번 고위급 접촉 때도 적극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부모 없는 자식이 없듯이 북한의 지도자들도 이산의 한은 풀어주겠다는 전향적인 자세로 문제를 풀어가 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북한 측은 확성기 방송 등 대북 심리전 중단에 대한 반대급부 차원에서 이산가족 상봉행사 카드를 활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1988년부터 올해 7월말까지 이산가족으로 등록된 국내외 인사는 12만9698명이다. 이 가운데 올해 6월말까지 사망이 확인된 사람은 6만3406명으로 절반에 육박한다. 생존자 6만6292명 중에서도 절반 이상인 3만5997명이 80세 이상의 고령자로 시간이 촉박한 상황이다.
남북 합의에 따라 다음달 추석을 전후해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갖게 된다면 지난해 2월 이후 1년7개월만이 된다.
남북이 앞으로도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지속적으로 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정례화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남북은 공동보도문에서 “남과 북은 올해 추석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을 진행하고 앞으로 계속해 나가기로 했으며, 이를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을 9월 초에 가지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시기와 규모에 있어서는 추가 조율이 필요하다. 북한은 통상적으로 남북 100명씩 만나는 안을 제시해왔지만 우리측은 300명선으로 확대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정례화된다면 금강산 관광 재개와 민간 분야 교류ㆍ협력 확대 등 남북관계 개선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연구실장은 “준비 기간이 상당히 걸릴 텐데 그 기간에는 북한의 무력시위나 도발위협 수준이 완화될 수 있다”며 “민간교류ㆍ협력 확대를 통해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