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수년을 망설인 시신기증
아들의 수술 이후 단숨에 결정한 아버지
그들의 기증에 영리는 없었다…오직 선의뿐
[헤럴드경제=박지영·이용경 기자] 그의 시신기증증은 테두리가 다 까져 있었다. 그 위로 겹겹이 붙인 투명한 유리테이프. 얼마나 소중히 다뤘는지 때 하나 타지 않았다.
박성현(가명) 씨는 아버지와의 추억이 별로 없다. 공사장을 돌아다녀야했던 성현 씨의 아빠는 집에 있었던 적이 없었다. 거나하게 취해서 온 날이면 성현 씨와 어머니에게 간혹 주먹을 들기도 했다. 언젠가부터 아버지와 아들의 사이는 서먹해져만 갔다. 평범한 대화조차 하지 않는 남남인 관계로 십수년이 흘렀다. 그러다 2021년, 방에 있던 아버지가 갑자기 끙끙 앓기 시작했다. 급하게 성현 씨가 차를 몰고 가까운 병원으로 갔지만, 결국 아버지는 며칠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장례는 빠르게 진행됐다. 평생 한 번을 따뜻한 말 해준 적 없는 아버지라 눈물도 크게 나지 않았다. 다른 죽음과 다른 점은 장례식을 치르지 않았다는 것. 지금으로부터 20년 전, 성현 씨 어머니 권유로 가톨릭대학교에 시신을 기증했기 때문이다.
성현 씨는 잘 몰랐지만, 아버지에게 시신기증은 평생의 자부심이었다. 아내의 설득에 못 이기는 척 시신기증 동의서에 사인을 한 것처럼 보였지만, 사실 그에게 발급 된 시신 기증증은 ‘국가 발전에 기여한다’는 일종의 자부심 같은 것이었다. 지갑에 가족사진은 없었지만, 기증증은 늘 한켠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는 입버릇처럼 동료들에게 “우리도 언제 죽을지 모르니까 당신도 시신기증을 하라”며 뿌듯하게 기증증을 꺼내보였다고 한다. 성현 씨가 보여준 아버지의 기증증에는 투명한 유리테이프가 촘촘히 감겨있었다. 혹시라도 훼손될까 소중히 보관한 흔적이다.
남편이 시신기증을 결정하기까지는 오랜 결심이 필요했다. 성현 씨의 어머니는 1989년, 성현씨의 아버지와 결혼을 하자마자 “우리가 마지막에 할 수 있는 가장 선한 일”이라며 시신기증을 권유했다고 한다. 의과대학 학생들이 시신이 없어 공부를 못한다는 뉴스를 본 이후다. 남편은 주저했다. ‘생각은 옳지만 쉽지 않을 것 같다’며 십수년을 망설였다.
그런 그가 시신 기증을 결정한 이유는 단 하나, 아들 때문이었다. 성현 씨가 18살 때 안와골절을 입었는데, 가천대 길병원에서 수술을 하게 됐다. 아들의 수술을 해준 의료진에게 감사함을 느꼈다. 성현 씨의 아버지는 그 길로 망설임 없이 집에서 가장 가까운 가톨릭 성모병원으로 가 시신기증 동의서에 사인을 했다. 기증을 망설이던 성현 씨의 외할머니까지 마음을 열었다. 그렇게 성현 씨의 어머니와 아버지, 외할머니까지 가족 모두가 가톨릭대에 시신을 기증했다.
그저 의학에 도움이 되고자했던 선의. 성현 씨의 어머니가 가족들을 설득해 남편과 자신의 어머니까지 시신기증을 한 이유에는 그저 선의 밖에 없었다. 그렇게 의학 발전에, 나라에 발전이 됐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살았다. 그러다 지난 6월, 힐리언스랩이라는 교육업체가 가톨릭대학교에서 헬스트레이너·필라테스 강사 등을 대상으로 1인당 60만원을 받고 카데바 워크숍을 개최하려고 했다는 사실을 알게됐다. 이 업체는 지난해 2차례 카데바 워크숍을 개최한 바 있다. 성현 씨 어머니의 눈시울은 붉어졌고, 성현 씨는 벌컥 화를 냈다.
“사람이 아니라 상품으로 본 거잖아요. 외할머니와 아버지의 시신기증을 하고 그저 좋은 곳에 좋은 의미로다가 잘 쓰였겠다고 생각했어요. 근데 우리 외할머니가, 아버지가 의학도가 아닌 사람들에게 교보재로 쓰였을지도 모르는 일이잖아요. 어떤 연구에 어떻게 사용했는지 학교에서는 연락도 한 번 안 왔어요. 이렇게 아버지랑 사이가 안 좋았는데도 너무 화가 납니다. 아니 남의 시신이라도 화가 나요. 어떻게 사람이 이럴 수 있습니까...”
성현 씨는 그 뒤로 말을 잇지 못했다. 잠깐의 침묵이 흐른 뒤 성현 씨의 어머니도 입을 뗐다.
“기독교에서는 한 사람을 구하기 위해서 얼마나 애를 쓰나요. 한 명 한 명의 영혼을 얼마나 하나님이 귀하게 여기는데... 근데 이 한 구는 그냥 시체일 뿐이라고 생각한 거 같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시신 기증이 여전히 필요한 일이라고 했다.
“그래도 아직 시신이 없어 공부를 못하는 의대생들이 있을 거잖아요. 그 친구들을 위해서라도 저는 시신기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저는 지금도 아들한테 그렇게 얘기해요. 인간은 죽으면 결국 흙으로 돌아가는데, 마지막으로 좋은 일 하자. 이 생각에는 변함없어요. 이번 일로 시신기증이 위축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편집자주지난 6월, 비의료인 대상 ‘카데바(시신) 워크숍’이 사회적 문제가 됐습니다. 기증 받은 시신이 누군가에 의해 영리 목적으로 활용됐다는 의혹은 지탄을 받았습니다. 지난 7월 보건복지부는 최근 3년간 국내에서 의료 교육 목적으로 활용된 카데바는 전체 4657구 중 1610구(34.6%)라고 밝혔습니다. 나머지 3047구의 카데바는 어디로 갔을까요. 헤럴드경제 취재팀은 이 사라진 카데바를 추적했습니다. 그 끝은 ‘윤리와 영리’로 이어졌습니다.시신 기증은 한 사람이 선택할 수 있는 마지막 사회 공헌입니다. 이런 선의가 누군가의 이익으로 귀결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고민도 있었습니다. 카데바 기획 기사가 시신 기증을 꺼리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러나 카데바는 더 투명하게 관리·감독 돼야 한다고 믿습니다. 내 시신이 어떻게 활용되는지가 투명하게 관리된다면 더 많은 시신 기증 사례가 나올수 있습니다.
취재진은 지금도 카데바 관련 제보를 받고 있습니다. go@heraldcorp.com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끝까지 취재해 꼼꼼하게 보도하겠습니다.
“
②[단독]‘나랏돈’ 들어간 비의료인 대상 카데바 교육…‘복지부 보고’도 패싱
③[단독] ‘카데바 쏠림’의 부작용…1구당 지출 영수증 보니
④[단독]카데바 워크숍 연 대학들 “실비 수준”…정부 비용 분담 필요성 제기
⑤[단독]의대생 교육에 쓰인 카데바는 매년 30%대
⑥“카데바 워크숍? 의대생 교육용만으로도 부족한 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