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등 수도권 중심으로 응급 이송 지연 건수 ‘제로’
편집자주 취재부터 뉴스까지, 그 사이(메타·μετά) 행간을 다시 씁니다.
28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사태가 본격화한 20일부터 26일까지 전국 소방 본부에 보고된 구급대 이송 지연 건수는 거의 없는 것으로 집계됐따. 지연 건수가 집계된 충남, 대전, 대구, 부산 지역 소방 본부도 의사들의 ‘집단사직 영향으로 인한 지연’은 아니라고 밝혔다.
서울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지난 20일 이후 특별히 응급환자 이송이 지연된 건은 없다”며 “서울은 타 지역과 달리 의료기관이 많다 보니 긴급한 응급환자에 대한 진료는 거의 다 이뤄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부산소방재난본부 관계자도 이송 지연 건수에 대해 “의료계 집단행동 이후 이송 지연 건수가 조금은 증가했지만, 평시에도 하루에 4~5건의 이송 지연이 있다”며 “이를 두고 ‘집단사직 영향으로 이송 지연이 증가 추세를 보였다’고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대전에서 80대 심정지 환자가 ‘응급실 뺑뺑이’를 겪은 후 사망 판정을 받았다고 알려진 사례 역시 의료공백 사태가 직접 원인은 아니었다고 정부도 밝힌 바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6일 대전광역시와 소방청, 중앙응급의료센터 등과 합동으로 사실확인과 현장점검을 시행한 뒤 “대전 소재 병원에서 사망한 환자는 말기 암 환자로 가정 호스피스 진료 중 상태가 악화돼 사망한 경우”라며 “응급실 수용 거부와는 관련이 없는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응급환자를 실어나르는 ‘119 구급대’의 출동 건수 역시 다소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 16~26일 119 구급대의 일 평균 출동건수와 응급환자 이송 인원은 각각 8294건, 4713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월 평균 8552건, 4894명보다 각각 3.0%, 3.7% 감소한 수치다. 소방청 관계자는 “병원 진료가 어려운 상황임을 고려해 국민들이 긴급한 경우가 아니며 내원을 자제하는 듯하다”고 분석했다.
당초 의료계에선 응급실 당직 등을 담당하는 응급의학과 전공의(인턴·레지던트)들이 의료 현장을 떠날 경우 응급 환자를 실은 119차량이 병원을 찾아 헤매야 하는 ‘응급실 뺑뺑이’ 또는 ‘전화 뺑뺑이’가 크게 늘어나, 119 대원들의 업무량 역시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우려들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헤럴드경제가 취재한 바에 따르면 우려됐던 이송 지연 건수는 전공의 공백 이전 수준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 ‘빅5’ 등 대형 병원들의 응급실 운영은 축소되거나 줄어들었으나, 2차 중형병원들이 응급 환자를 수용하면서 우려됐던 응급환자 이송 대란 상황은 아직은 펼쳐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여기엔 전공의들이 비운 자리를 PA간호사나 전임의, 교수들이 메우면서 전공의들이 비운 의료 공백을 비교적 순탄하게 방어하고 있는 것 역시 큰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가 지난 27일부터 PA간호사들에 대한 업무를 각 병원장들의 재량에 맡길 수 있도록 한 것 역시 응급환자 치료에 일정 부분 기여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현재와 같은 평온이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의료계 관계자는 “현재 전공의들이 비운 자리를 펠로가 대신 채우고 있다. 주당 70~90시간씩 일을 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의료계에선 현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유지될 수 있는 기한이 길어야 2주~3주에 불과할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