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진단’ 규제 완화…시장 기대감 커져

무너질 위험 없어도 주거환경 열악하면 재건축 가능

도심에 양질의 주거공급 ‘씨앗’ 되길

‘이중주차에 녹물 나와도 참고 살라던 우리집’…“이제 재건축 합니다” [부동산360]
정부가 8일 재건축 안전진단 합리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준공 후 30년이 넘어선 단지들의 재건축 추진이 빨라질 전망이다. 사진은 서울 양천구 목동 일대 아파트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 아파트가 오래돼 낡고 불편해지면 고쳐 쓰거나(리모델링) 새로 지어(재건축) 써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재건축은 입주민이 원해도 마음대로 할 수 없습니다. 법으로 기준을 정해 놓았기 때문입니다. 일단 30년 이상 지난 오래된 아파트여야 합니다.(재건축 가능 연한) 이들 중에도 건물에 균열이 생기는 등으로 안전하지 못하고(구조안전성), 주차, 층간소음, 난방, 급수 등 ‘주거환경’이 열악하다는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한마디로 오래됐으면서도 쓸 만하지 않아야 재건축 허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재건축을 하려면 우리 아파트가 쓸 만하지 않다는 걸 증명해야 합니다. 재건축 첫 번째 단계인 ‘안전진단’은 이걸 증명하는 절차인데요. 이게 늘 논란의 중심이 됐습니다. 정부가 안전진단 세부 항목의 비중을 변동시켜 재건축을 규제해 왔기 때문입니다.

좀 자세히 보면 이렇습니다. 안전진단은 기본적으로 ‘구조안전성’, ‘주거환경’, ‘설비노후도’, ‘비용분석’이라는 4가지를 평가합니다. 구조안전성은 말 그대로 구조적인 결함으로 붕괴위험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건물이 기울어 졌다거나, 균열이나 철근 부식이 생겼는지 등을 봅니다. 주거환경은 주차대수·생활환경·일조환경·층간소음·에너지효율성 등에 문제가 있는지 보는 거고요. 설비노후도는 난방·급수·배수 등 기계설비, 전기소방설비 등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비용분석은 건물 구조체의 보수·보강비용과 재건축 비용을 분석해 재건축의 타당성을 따지는 겁니다.

여기서 늘 문제가 되는 게 ‘구조안전성’ 비중 변화인데요. 이를 높이고, 다른 기준의 비중을 낮추면 재건축 규제 수단이 됩니다. 아무리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설비가 낡아 생활하는데 불편해도 무너질 위험이 없으면 재건축을 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문재인 정부 때인 2018년 3월 정부는 구조안전성 비중을 50%까지 높였습니다. 주거환경(15%), 설비노후도(25%) 기준으론 재건축이 필요한 수준이어도 구조적으로 문제가 없으면 재건축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반대로 구조안전성 비중을 낮추고 다른 기준을 더 중요하게 따지면 재건축은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5년 5월 구조안전성 비중은 20%까지 내리고, 주거환경(40%)이나 설비노후도(30%) 기준은 대폭 높였습니다. 입주민이 생활하는 데 불편하면 튼튼한 아파트도 재건축이 가능해 지니 재건축 추진 단지는 늘어났습니다.

두 시기 안전진단을 통과한 단지 수를 비교하면 차이가 명확히 드러납니다. 구조안전성 비중을 20% 적용했던 2015년 5월부터 2018년 2월까지 34개월 간 전국 재건축 추진 단지 중 안전진단을 통과한 곳은 139개단지(연 49건)였습니다. 서울 만해도 59건(연 21건)이나 됐습니다. 하지만 구조안전성 비중 50%로 높인 2018년 3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56개월 간 안전진단을 통과한 건수는 전국 기준 21건(연 5건)에 불과했습니다. 서울은 7건(연 2건)밖에 안됐습니다. 이 시기 사실상 재건축이 멈춰 섰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따라서 정부가 내년 1월부터 구조안전성 비중을 다시 30%로 낮추기로 한 건 재건축 활성화 대책으로 의미가 큽니다. ‘주거환경’과 ‘설비노후도’ 비중을 각각 30%씩으로 높여 두 기준만 합해도 60%가 됐으니, 앞으론 구조 안전에 문제가 없어도, ‘열악한 주거환경’이란 이유만으로도 재건축의 첫 단계를 통과할 수 있게 됐기 때문입니다.

이번 조치로 재건축 시장이 활기를 띨까요? 요즘 침체된 시장 상황을 고려하면 좀 부정적입니다. 재건축을 해봐야 비용만 들어가고 집값은 계속 떨어진다면 적극 나설 집주인은 별로 없을 겁니다.

안전진단은 사실 재건축의 가장 첫 번째 단계에 불과합니다. 안전진단을 통과하고도 평균 10년 이상 지나야 새 아파트가 지어집니다. 그 사이 시장 상황은 변하고 관련 제도도 계속 바뀝니다. 권혁진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이 상황을 이렇게 설명하더군요.

“저희들은 씨앗을 뿌려 놨다고 생각합니다. (주택시장이 침체된 상태여서) 아무리 뿌려도 겨울에는 발아가 안 됩니다. 감히 말하면 주택경기는 언제든 얼어붙고 다시 여름이 되기도 합니다. 그런 때일수록 공급기반을 만들어야 합니다.”

한 전문가는 이번 재건축 안전진단 규제 완화에 대해 규제를 완화한 게 아니라 정상화한 것이라고 하더군요. 사업을 아예 못하게 했다가 사업을 할 여건을 만들어 준 차원이라는 겁니다. 물론 사업할 여건이 됐다고 돈을 벌 상황이 아닌데, 너도 나도 사업에 나서긴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권실장의 말처럼 이번 조치는 시장에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겁니다. 주택공급이 부족한 도심에 양질의 주택공급의 씨앗이 되길 기대합니다.

‘이중주차에 녹물 나와도 참고 살라던 우리집’…“이제 재건축 합니다” [부동산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