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ving discussed India and South Korea economic cooperation in the past and at the present time (vide my column published on December 2, 2024), this article is focussed on the possible future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se two great nations.
Needless to say, that future of India-South Korea economic cooperation would be shaped by the matrix of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s well as complementarities in their respective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ese, in turn, would invariably be reflected in their distinctive comparative cost advantages, thereby leading to convergence of interests of both economies in industrial products and natural resources.
In this regard, at least 7 areas could be identified for consideration, as discussed below:
1. Bilateral Trade: Volume and Efficiency
Over the past two decades (i.e. from 2004 to 2023), bilateral trade between the two nations has grown five-fold (from US$ 4.3 billion to US$ 25.9 billion). Throughout this period, for India, there were bilateral trade deficits (with South Korea‘s exports to India far outpacing imports from India).
After 10 rounds of discussions under the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CEPA), future discussions should aim at a more balanced expansion of bilateral trade flows, while addressing the issues relating to trade barriers.
The launch of Electronic Origin Data Exchange Systems (EODOS) between the customs authorities of India and South Korea in 2023 is truly a milestone development. This process needs to be strengthened with a view to continually improving the trade efficiency between the two countries.
2. Sovereign Investment Flows
During the last decade (i.e., 2014-2024), there has been a spectacular infrastructure push in India. As a part of this crucial strategy, a National Infrastructure Pipeline (NIP) has been set up in India (in 2019) which is repository of large infrastructure projects. The NIC until recently had identified around 9300 projects, of which, more than half are already operational.
It is no coincidence that the Korea Investment Corporation (KIC) has opened an office in Mumbai this year. KIC which has, for long been aligned with broader strategy of sovereign wealth funds in advanced economies, now seems to be shifting its attention to alternative Investments.
Apparently, there is what economists call a ‘double coincidence of demand’ here. These sovereign investments from South Korea could go a long way in capitalizing India’s rapidly expanding infrastructure needs.
Reportedly, South Korean enterprises have shown interest in Digital India and Smart Cities, and the two nations have identified US$ 10 billion under Korea’s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and Export Credit, to finance infrastructure projects in India. This is truly a great breakthrough and we need to build on that.
3.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South Korea is the 13th largest contributor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to India. In fact, South Korea’s share in India‘s overall FDI (June 2023) was a measly 0.62 per cent. Evidently, there is a considerable scope for a big expansion in this regard.
Given its exceptionally strong economic fundamentals, India can readily be seen as the most attractive destination for FDI outflows from South Korea. India today, and for the near future, is and would be the fastest growing among the large economies in the world. Over the last three decades or so, the Indian economy has grown at an impressive annual average real GDP growth rate of around 6.5 per cent and it is being sustained, unlike China. Moreover, in India, the inflation has been brought down, fiscal deficit has been lowered and current account deficit has been contained with forex reserves being the 4th largest in the world. This calIs for a highly significant expansion of FDI flows from South Korea to India.
4. Technology and High-Tech Manufacturing
There are ample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in technology and high-tech manufacturing. In this regard, key areas of converging interest between the two economies include among others, automobile, and electronics sector. Hyundai and Kia are leading Korean investments in India. (Hyundai Motors India Ltd (HMIL) has been listed on the Indian stock market in October 2024 in a landmark IPO - the largest in India’s history.) Here India‘s focus on developing its own electric vehicle (EV) ecosystem resonates very well with South Korea’s expertise in EVs and battery manufacturing. Likewise in the electronics sector, with Samsung and LG manufacturing as major players in India, there are umpteen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in high-tech manufacturing.
There are more than 600 Korean firms operating in India. However, 80 percent of Korean subsidiaries in India are wholly owned. Joint Ventures (JVs), if any, are among the Korean companies themselves and not with the Indian companies. As a result, the actual transfer of technology by Korean companies into India is restricted. This needs to change for a meaningful futur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5. Start-up Ecosystem
The Start-up Ecosystem in India has been booming - the number of start-ups shot up from 450 in 2016 to as many as 128000 in April 2024, with more than 110 unicorns, 5000 angel investors and more than 1400 venture capital firms. (Unicorn is a start-up private company valued at over US$ one billion and not listed on a share market).
Evidently, there is a highly significant scope for improving cooperation between India and Korea in fostering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The setting up of the Korea-India SME and Start-up Centre in Gurugram (near Delhi) in 2019, could go a long way in promot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SMEs and Start-ups in the two economies.
6. Bilateral Financial Cooperation and Digital Payments
Finance is also emerging as an area of bilateral cooperation between India and South Korea. India has opened a single branch of the State Bank of India (SBI) in Seoul in 2016.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 has relatively strong banking presence in India with six Korean banks - KEB Hana, Kookmin, Shinhan, Woori, Nonghyup and IBK. Reciprocity would demand a better bal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future.
In terms of digitalisation of payments, India ranks the third among G-20 nations (See Figure 1) after the US and China whereas South Korea ranks 6th, while the 4th and 5th positions belong to UK and Germany.
India‘s payments gateway i.e. Unified Payments Interface (UPI) offers a strategic alternative to the US- dominated SWIFT system. The UPI has already spread its wings to Singapore, the UAE, Nepal, Sri Lanka, Mauritius, and recently, into France.
According to India’s Central bank - the Reserve Bank of India (RBI), in 2022, India accounted for as much as 46 per cent of all digital transactions in the world. Importantly, nearly 80 percent of the e-transactions in India, were through the UPI.
A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India and Korea in respect of digital payments could give a significant boost to facilitating e-commerce and leveraging on the rapidly evolving tech start-up ecosystem.
7. Demographics and Skill Development
Presently, India has a youthful population with a median age of 27.6 years whereas South Korea‘s median age is 43.4 (See Table 1).
Currently, India accounts for nearly one fifth of the global working-age population (i.e., aged 15-59) and it is expected to grow further peaking only in the year 2035.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s working-age population has already peaked way back in 2015. These demographics, by themselves, imply favourable economic growth outcomes for India but shrinking work force and higher dependency ratio for South Korea, which can lower its future economic growth potential.
On the flip side, South Korea did harness its Demographic Dividend when it prevailed, by making heavy investment in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leading to a highly skilled and technically capable labour force. Indeed, South Korea‘s strong focus o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education greatly facilitated its high-tech industry growth. On the other hand, India is facing formidable challenges in access to higher education and even more so in vocational training for its growing labour force. As a result, there are major gaps in the skill sets needed for innovation and high-value manufacturing in India.
Clearly discernible here is yet another huge opportunity - a ‘double coincidence of demand’, which could be used by India and South Korea for mutually re-enforcing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A Summing-up
India is a land of Lord Buddha. An epic poem by Sir Edwin Arnold first published in 1879 on the life and message of Buddha, was titled: ‘The Light of Asia’. Fifty years later, the Indian Nobel laureate Rabindranath Tagore published a poem titled ‘Lamp of the East’ (1929) which envisioned Korea as a ‘lamp waiting to be lighted once again for illumination in the East’.
Today both India and Korea‘s are shining brightly symbolizing their remarkable ascent over the years. India and Korea walking together in pursuit of shared prosperity, progress, and peace is indeed the order of the day.
인도와 한국:경제 협력의 미래
2024년 12월 2일 칼럼에서 인도와 한국의 과거와 현재 경제 협력을 다뤘다. 이번 글에서는 두 나라의 경제 협력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살펴본다.
인도와 한국의 경제 협력은 각국의 강점과 약점, 생산과 소비에서의 상호 보완성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이는 각자의 비교 비용 우위로 나타나며, 결국 공산품과 천연 자원 분야에서 양국의 이익이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이에 따라 주목할 만한 7가지 협력 분야를 꼽을 수 있다.
1. 양자 무역: 규모와 효율성
지난 20년간(2004~2023) 양국의 무역 규모는 43억 달러에서 259억 달러로 5배 증가했다. 하지만 이 기간 동안 인도는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수출을 크게 웃돌며 무역 적자를 기록해왔다.
포괄적경제파트너십협정(CEPA)을 둘러싼 10차례의 논의를 거친 만큼, 앞으로는 무역 장벽 문제를 해결하면서 양국 간 무역 흐름의 균형 있는 확대를 목표로 삼아야 한다.
2023년 인도와 한국 세관 당국 간 원산지 증명서 전자 교환 시스템(EODES)의 도입은 중요한 진전이다. 이 시스템을 강화해 양국 간 무역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높여야 한다.
2. 국부 투자 흐름
지난 10년간(2014~2024) 인도에서는 대규모 인프라 개발이 활발히 진행됐다. 이를 위해 2019년 국가인프라파이프라인(NIP)이 설립돼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있다. 최근까지 약 9300개 프로젝트가 확인됐으며 그중 절반 이상이 이미 운영 중이다.
올해 한국투자공사(KIC)가 뭄바이에 사무소를 연 것은 우연이 아니다. 선진국 국부펀드의 전략에 오랫동안 맞춰온 KIC는 이제 대체 투자에 더 주목하는 모습이다.
경제학자들이 말하는 ‘수요의 이중적 일치’가 여기에서 나타난다. 한국의 국부 투자는 인도의 급속히 확대되는 인프라 수요를 충족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한국 기업들은 디지털 인디아와 스마트 시티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양국은 한국의 대외경제협력기금과 수출 신용을 통해 인도 인프라 프로젝트에 100억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큰 돌파구로, 이를 기반으로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가야 한다.
3. 외국인 직접 투자(FDI)
한국은 인도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FDI)에서 13위 기여국이다. 2023년 6월 기준, 한국이 인도 전체 FDI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겨우 0.62%에 불과하다. 이는 FDI 확대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도는 뛰어난 경제 기초 체력을 바탕으로 한국의 해외 직접 투자에 가장 매력적인 대상국으로 볼 수 있다. 현재와 가까운 미래에도 인도는 세계 주요 경제국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나라로 자리할 것이다. 지난 30여 년간 인도 경제는 연평균 약 6.5%라는 놀라운 실질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이는 중국과 달리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인도는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 재정 적자를 줄였으며, 경상 수지 적자를 관리하는 한편 외환보유액은 세계 4위에 달한다. 이러한 점은 한국의 대인도 FDI를 크게 확대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4. 기술 및 첨단 제조업
기술과 첨단 제조업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는 기회는 충분하다. 양국 경제 간에 주요 관심 분야로는 자동차와 전자 산업 등이 있다. 현대와 기아는 인도에서 한국의 주요 투자 기업이다. (현대자동차 인도법인은 2024년 10월 인도 증시에 상장됐으며, 이는 인도 역사상 가장 큰 IPO였다.) 인도는 자국의 전기차(EV) 생태계 구축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EV와 배터리 제조 분야의 전문성과 잘 맞아떨어진다. 전자 산업에서도 삼성과 LG가 주요 제조업체로 활동하고 있어, 첨단 제조업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
인도에는 600개가 넘는 한국 기업들이 운영 중이다. 그러나 이들 중 80%는 한국 기업이 전액 출자한 자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만약 합작 투자가 있다면, 그것은 한국 기업 간의 협력일 뿐 인도 기업과의 협력은 아니다. 이로 인해 한국 기업들이 인도로 이전하는 기술이 제한적이다. 이는 양국 간의 실질적인 경제 협력을 위해 변화가 필요하다.
5. 스타트업 생태계
인도의 스타트업 생태계는 급성장하고 있다. 2016년 450개였던 스타트업의 수가 2024년 4월에는 12만8000개로 급증했으며, 110개 이상의 유니콘 기업, 5000명의 엔젤 투자자, 1400개 이상의 벤처 캐피털 기업이 활동 중이다. (유니콘은 기업 가치가 10억달러를 넘는 비상장 스타트업을 의미한다.)
명백히 인도와 한국 간의 혁신과 창업 촉진을 위한 협력 개선 여지가 크다. 2019년 구르가온(델리 근처)에 설립된 한국-인도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센터는 두 경제의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간 협력을 촉진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6. 양자 금융 협력 및 디지털 결제
금융은 인도와 한국 간의 새로운 협력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인도는 2016년 서울에 인디아스테이트은행(SBI) 단일 지점을 개설했다. 반면, 한국은 인도에 6개의 한국 은행(KEB하나, 국민, 신한, 우리, 농협, IBK)을 운영하며 상대적으로 강한 은행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향후 양국 간 금융 협력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기 위한 상호주의가 필요하다.
디지털 결제의 분야에서 인도는 주요20개국(G20) 국가 중 미국과 중국에 이어 3위에 올라 있다. <그림 1 참조> 반면 한국은 6위에 있으며, 4위와 5위는 각각 영국과 독일이다.
인도의 지불 결제 사업자인 통합 결제 인터페이스(UPI)는 미국 주도의 SWIFT 시스템에 대한 전략적 대안을 제공한다. UPI는 이미 싱가포르, UAE, 네팔, 스리랑카, 모리셔스, 최근에는 프랑스로까지 확장됐다.
인도의 중앙은행인 인도준비은행(RBI)에 따르면 2022년 인도는 전 세계 디지털 거래의 46%를 차지했다. 특히 인도의 전자 거래 중 약 80%는 UPI를 통해 이뤄졌다.
인도와 한국 간의 디지털 결제 분야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은 전자상거래를 촉진하고 급변하는 기술 스타트업 생태계를 활용하는 데 중요한 동력이 될 수 있다.
7. 인구 통계와 기술 개발
현재 인도는 중위 연령이 27.6세로 젊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중위 연령은 43.4세다.<표 1 참조>
현재 인도는 전 세계 생산 가능 인구(15~59세)의 약 5분의 1을 차지하며, 이는 2035년까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한국의 생산 가능 인구는 이미 2015년 정점을 찍었다. 이러한 인구 구조는 인도에 유리한 경제 성장 전망을 시사하지만, 한국은 노동 인구 감소와 더 높은 부양율로 인해 미래 경제 성장 잠재력이 낮아질 수 있다.
반면, 한국은 인구 배당효과가 있었을 때 교육과 직업 훈련에 대규모 투자를 하여 기술적으로 능숙한 고숙련 노동력을 양성했다. 실제로 한국은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교육에 집중하며, 이는 첨단 산업의 성장을 크게 촉진했다. 반면, 인도는 증가하는 노동력에 대해 고등 교육 접근성 및 직업 훈련에서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 결과, 인도는 혁신과 고부가가치 제조업에 필요한 기술력에 큰 격차가 존재한다. 여기에서 또 다른 큰 기회가 뚜렷하게 보인다. 바로 인도와 한국이 미래의 상호 보완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수요의 이중적 일치’라는 기회다.
결론
인도는 부처님의 고향이다. 1879년 에드윈 아놀드 경이 부처님의 생애와 메시지를 다룬 서사시 아시아의 빛(The Light of Asia)을 발표했다. 50년 후, 인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라빈드라나드 타고르는 동방의 등불(Lamp of the East, 1929)이라는 시를 발표하며 한국을 ‘다시 불을 밝혀 동방을 비추는 등불’로 묘사했다.
오늘날 인도와 한국은 그동안의 놀라운 발전을 상징하며 밝게 빛나고 있다. 인도와 한국이 공동의 번영, 진보, 평화를 향해 함께 걸어가는 것은 바로 오늘날의 중요한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