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연구원, ‘국내 고농도 오전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보고서 발표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최근 30년간 오존(O3) 농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민관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지역별 주요 배출원이나 배출비율이 상이해 지역별 맞춤 정책 수립 등 저감노력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6일 한국환경연구원(KEI)의 ‘국내 고농도 오존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국내 오존 농도는 199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19년에는 인구 가중치를 고려한 경우 오존의 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그러나 “오존에 대한 농도 현황 및 특성, 해외 관리 사례조사 등 기초적인 정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해 구체적인 정책 방안을 마련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외 오존 농도 현황과 관리 현황을 살펴보면, 전 지구적으로 대류권 오존의 농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지역에 따라 선진국의 농도는 감소하는 반면 중국과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농도 증가가 두드러졌다.
국내 지역별로 보면, 2021년 기준 산화질소(NOx)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약 50%가 17개 광역지자체 중 상위 4개 지역에서 배출됐다. 산화질소는 경기도에서 가장 많았고 전라남도와 경상북도, 충청남도가 그 뒤를 이었고, VOCs는 경기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환경연구원은 “국내에서는 산화질소(NOx)의 배출량은 감소하는 데 반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배출량은 상대적으로 정체돼 있다”며 “오존 저감을 위해서는 산화질소의 배출 저감과 함께 VOCs의 배출 관리와 저감이 함께 이뤄져야 하고, 지역별로 주요 배출원 및 배출비율이 달라 지역별 맞춤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