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한미 숨가쁜 정상외교전…‘北도발 지속’ 힘 실리는 한미일 3각 공조 [한미일 밀착 강화]
지난해 11월 13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윤석열 대통령(왼쪽부터),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 3월 한일·4월 한미 정상회담이 잇달아 공식화하면서 ‘한미일 3각 공조’ 강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윤석열 대통령은 오는 16~17일 일본을 방문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지는데 이어 내달 26일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다.

한일관계 개선이 탄력을 받으면서 오는 5월 한미일 정상이 일본 히로시마에서 한 자리에 모일 가능성도 커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북핵 위협, 미사일 도발 등이 지속되며 한미일 3국간 협력 필요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이번 연쇄 정상회담이 한미일 협력체제의 ‘포괄적 발전’의 계기가 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10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한일관계 정상화의 물꼬를 본격적으로 트고, 취임 초부터 강조해온 ‘한미일 3각 공조’의 내실을 다지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윤 대통령이 여론의 반발에도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를 위해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을 내놓는 대승적 결단을 내린 이유기도 하다.

실제 한일 정상회담은 강제징용 배상 해법 발표 이후 3일만에 전격적으로 공식화했다. 한일 정상간 셔틀외교가 복원되는 것은 2011년 이후 12년 만이자, 우리나라 대통령의 일본 방문은 지난 2019년 이후 약 4년 만이다.

윤 대통령은 방일 기간 기시다 총리와 강제징용 해법뿐만 아니라 일본의 대(對) 한국 수출규제 조치 해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정상화 등에 대해 폭넓게 논의할 전망이다. 이를 통해 ‘한미일 밀착’의 걸림돌로 작용했던 한일 양국 현안을 일괄 타결하고, 내달 26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핵 위협에 대응하는 확장억제 강화, 군사안보 동맹을 넘어 공급망 연대까지 포괄하는 한미일 경제안보 협력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윤 대통령이 오는 5월 일본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옵저버(참관)로 초청받게 된다면, 한미일 정상회담까지도 열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만약 실제로 한미일 세 정상이 마주 앉게 된다면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한미일 정상이 회담을 갖고 ‘프놈펜 성명’을 발표한 지 6개월 만이다.

한일·한미 숨가쁜 정상외교전…‘北도발 지속’ 힘 실리는 한미일 3각 공조 [한미일 밀착 강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13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

정치권과 외교가에서는 윤 대통령의 한일·한미 연쇄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미일 3각 공조’가 군사안보적 동맹에 이어 공급망 연대 등 경제안보까지 포괄하는 수준으로 진일보 할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를 싣고 있다. 한일 관계가 정상화 수순에 들어간 가운데 한미일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한미일 협력 역시 심화할 것이란 기대다. 미국 정부는 그동안 중국 견제를 위해서는 한미일 협력을 필수로 보고 한일관계 개선을 일관되게 주문해 왔다.

여기에 북한은 전날 저녁에도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지속적으로 도발을 이어가고 있는 상태다. 제7차 핵실험 역시 임박했다는 관측이다.

전날 미국 방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강제징용 해법 발표를 계기로 한일관계를 포괄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며 “한미일 3국 관계가 안보협력 수준을 넘어선 포괄적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미 정상회담 의제에 대해서는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이해 앞으로 한미동맹을 ‘미래를 향해서 전진하는 행동하는 한미동맹’으로 만들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며 “두 번째는 북핵 위협에 대해 확장억제, 핵우산을 어떻게 보다 체계적으로 강화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했다”고 했다.

조태용 주미대사도 워싱턴DC 한국경제연구소(KEI) 주최 한미동맹 70주년 행사에서 “한국 정부의 강제징용 배상 해법이 한일 양국과 미국을 포함한 3국이 앞으로 협력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해 내는데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