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불황·中수요부진 겹쳐 2년째 순익 ↓

대기업과 격차 확대…연구개발 여력도 훼손

부채비율 증가로 재무건전성도 악화 가능성

[2018 중견기업 기업경영분석] 중견제조업 이익률 2년새 ‘반토막’…10곳 중 4곳 ‘역성장’
[2018 중견기업 기업경영분석] 중견제조업 이익률 2년새 ‘반토막’…10곳 중 4곳 ‘역성장’

성장 정체를 겪고 있는 국내 중견 제조업체의 수익성이 2년새 절반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이익률과의 격차도 점차 확대돼 기업 규모에 따른 수익성 양극화가 더 심화되고 있다.

▶순익률 2년째 하락=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2018년 중견기업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국내 중견 제조기업의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지난해 3.8%를 기록했다.

중견 제조업체들은 2016년엔 6.7%의 순익률을 기록했다 2017년엔 5.5%로 떨어졌고 지난해 추가 하락하면서 2년 연속 내림세가 이어졌다.

제조 대기업 순익률과의 차이도 더 벌어졌다. 2016년만 해도 제조 대기업 순익률은 7.2%로 중견 업체들이 어깨를 견줄 만 했는데, 재작년엔 중겨기업이 하락한 가운데 대기업이 10.0%로 껑충 뛰면서 차이가 4.5%포인트로 벌어졌고 지난해엔 중견 기업이 더 줄면서 격차(5.3%포인트)가 더 커졌다.

다른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도 제조 중견기업들은 2016년 5.5%에서 2018년 4.3%로 떨어졌다. 반면 같은 기간 제조 대기업은 6.7%에서 8.9%로 증가했다.

비제조업에선 중견기업의 수익성 지표가 대기업보다 좋았다. 중견 비제조기업의 세전순수익률은 2016년 5.6%에서 2018년 5.7%로 개선됐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은 6.2%에서 6.1%로 소폭 하락하는 데 그쳤다.

한은 관계자는 “수익성 지표가 좋은 주요 게임업체들이 중견 비제조기업으로 분류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같은 기간 비제조 대기업의 세전순이익률은 4.6%에서 4.2%로, 영업이익률은 6.4%에서 5.3%로 각각 하락했다.

▶10개 중 4개 업종이 逆성장=제조 중견기업들의 성장 정체도 심각하다. 작년 전체 중견기업들의 매출액 증가율이 대기업(2.7%)보다 낮은 1.4%에 그친 가운데 제조업은 이보다 낮은 1.3%를 기록했다.

제조업 10개 업종 4개(고무·플라스틱 -0.7%, 1차금속 -0.2%, 전자·영상·통신장비 -5.0%, 기타기계·장비 -4.8%)가 전년대비 마이너스 성장했다.

한은 관계자는 “작년 상반기까지 반도체 업황이 호황을 누리면서 생산이 크게 늘었는데 하반기부터 재고가 쌓이기 시작하자 하청을 받은 중견기업들이 상대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며 “게임업체들의 경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영향으로 중국에서 매출이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따.

▶부채비율도 대기업보다 高=제조 중견기업의 재무건전성도 대기업보다 좋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해 부채비율은 지난해 부채비율은 79.3%로 중소기업(125.7%)보단 낮지만 제조 대기업(58.7%)보단 높았다.

비제조업 중견기업의 부채비율은 110.6%로 대기업(149.2%), 중소기업(181.6%)에 비해 낮았다. 차입금 의존도도 비제조업 중견기업은 23.5%로 대기업(29.7%)과 중소기업(39.4%)을 하회했다. 한은 관계자는 이에 대해 “비제조업에서 재무상태가 양호한 게임업체 등 정보통신업의 비중이 총자산 기준으로 높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중견기업 기업경영분석 통계는 중견기업 4157개 업체의 재무 자료를 기반으로올해 처음 시범적으로 작성됐다.

중견기업법은 중소기업법이 규정하는 중소기업(총자산 5000억원 이하)과 공정거래법이 규정하는 대기업집단(총자산 10조원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허리’에 해당하는 기업군을 중견기업으로 분류한다. 이 가운데 외국인투자기업, 공기업 등은 중견기업 범위에서 제외된다.

한은 관계자는 “내년 중 통계청 변경승인을 거쳐 중견기업 기업경영분석을 국가통계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경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