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한국의 국부가 1경630조원대로 국내총생산(GDP)의 7.7배 수준인 것으로 추계됐다.

이 가운데 개인 부문인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보유 규모를 구매력평가 환율로 환산하면 4인 기준 가구당 57만달러대로 미국의 63%, 일본의 82%에 달했다.

자본생산성을 보여주는 자본서비스물량 증가율은 1980년대는 1980년대 11.4%에 달했으나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크게 둔화해 2012년에는 4.0%에 그쳤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은 14일 국민계정 통계의 국제 기준에 맞춰 처음으로 국민대차대조표를 개발한 결과, 이처럼 추계됐다고 밝혔다.

우선 한국의 국부인 국민순자산(자산-부채)은 1경630조6000억원이다. 국민 1인당2억1259만원인 셈이다.

1년 전과 비교하면 국민순자산은 464조6000억원이 늘었으며 요인별 증가분은 자산 순취득 등 거래요인이 219조8000억원, 자산가격 상승에 따른 보유손익 등 거래외 요인이 244조8000억원을 차지했다.

2012년말 부동산, 공장설비, 재고 등 실물 경제의 자산을 보여주는 비금융자산은 1경731조7000억원이지만 순금융자산은 마이너스(-101조1000억원)를 기록했다.

2012년말 현재 한국의 국민순자산은 GDP의 7.7배로 호주(5.9배), 캐나다(3.5배), 프랑스(6.7배), 일본(6.4배) 등 주요국보다 높았다.

한은은 나라별로 토지를 시가 평가하는 방법이나 정도가 달라 일률적인 비교는 다소 무리가 있는 측면이 있지만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비교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실제 한국의 토지자산은 비금융자산의 52.2%에 달해 GDP의 4.1배에 달했으며 이는 일본ㆍ호주·프랑스(2.4∼2.8배), 캐나다(1.3배) 등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경제 주체별 국민순자산 보유 규모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6056조7000억원(57.0%)이고 일반정부 2736조원(25.7%), 비금융법인 1524조7000억원(14.3%), 금융법인이 313조2000억원(2.9%) 등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순자산을 구매력 평가 환율(2012년 달러당 847.93원)로 환산하면 4인 가구당 57만1000만달러(4억8449만원)로 미국(90만2000달러), 일본(69만6000달러)보다는 낮지만 네덜란드(56만6000달러)보다도 높다.

조태형 한은 국민B/S팀장은 한국의 부동산 가격과 관련, “장기 시계열이 없어 버블이라고 확정하기는 어렵지만 땅에 대한 집착은 높은 아시아권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이번 통계 개발과 관련, “5대 국민계정 통계를 완성, 국민계정 통계의 선진화를 이뤘다”며 “산업별 생산성, 잠재 성장률 추정 등 거시경제 분석에 필요한 통계 인프라가 크게 확충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