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기준 우리나라 산림 면적은 약 634㏊, 전체 국토의 64%에 해당한다. ㏊당 임목 축적은 125㎥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121㎥를 웃돈다. 반면 목재 자급률은 16%로 일본 30%, 호주 85%에 비해 아주 낮은 편이다.
1960~1980년대에 걸친 박정희 대통령의 치산녹화사업으로 민둥산을 푸르게 하는 데는 일단 성공했다. 하지만 좁은 국토면적, 영세한 소유구조 및 기후, 토양 등의 한계로 인해 대규모 조림지 조성이 어려워 목재수요의 84%를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2050년까지 멀리 봐도 목재 자급률은 30% 수준을 넘지 않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더욱이 각 나라들은 자국의 산림보호를 위해 천연림 벌채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목재자원의 공급원 확보가 무엇보다 절실해졌다.
해외 조림은 바로 이런 리스크에 대한 대비책이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같은 열대우림은 우리나라보다 5~8배가량 나무가 빨리 자라고 수익률도 12% 이상일 정도로 해외조림사업은 경제성 있는 투자다.
실제 일본이나 미국 등은 이미 1960~1970년대에 대형 제지기업을 중심으로 산업용재 및 펄프용으로 라디에타소나무나 유칼립투스를 남미지역 지역에 식재했다. 이후 동남아로 재배지역을 확대하면서 해외조림이 활성화됐다. 물론 우리나라도 1990년대 들어 해외조림을 시작, 13개국에서 총 30만㏊의 조림면적을 확보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해외조림의 경우 약 82%가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 지역에 편중돼 있다. 이들 국가는 펄프용 속성수 및 팜오일, 고무나무 등 목재용재로 활용도가 낮은 수종 중심으로 조림이 이뤄지고 있다. 실질적인 목재자급률을 높일 수 있는 산업 조림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 대부분의 토지는 국가 소유로 조림지 확보 절차가 복잡할 뿐 아니라 작업비 및 인건비 상승, 지역주민과의 갈등 등 사업상 위험요소가 적지 않다.
따라서 미국이나 유럽 국가들처럼 중남미, 오세아니아 등으로 해외조림의 다각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산림청의 해외조림사업 지원확대와 조림잠재력이 높은 국가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현재 전문인력 양성에 주력하고 있지만 좀 더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투자가 추진돼야 할 것이다.
필자가 몸담고 있는 한솔홈데코는 1996년 이후 뉴질랜드에 1만㏊ 규모로 목재산업 용재인 라디에타소나무 250만그루를 조림하고 있다. 안정적인 산림자원 확보는 물론 기후변화 대응 탄소배출권까지 얻게 됐다. 또 뉴질랜드 현지인과 신뢰 속에 굳건한 협력관계를 유지, 민간외교 역할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산림청 산하 녹색사업단과 협력을 통해 뉴질랜드 정부의 인프라투자 유도를 극대화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이처럼 우리나라도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해외조림을 통해 산림자원의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여 목재자급률을 끌어올려야 한다. 동시에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국제협력 증진도 기대해볼 수 있다. 국가의 미래 경쟁력이 될 해외조림 분야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정책이 마련돼야 할 때다.
고명호 한솔홈데코 대표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