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록스를 신은 의사들. 네이버 블로그
크록스를 신은 의사들. 네이버 블로그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이 신발 아니면 안 신으려고 해요.”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한번쯤 겪어봤을 일이다. 앞코가 뭉툭하고 구멍이 뚫려 있는 슬리퍼 형태의 신발, 크록스다. 없는 집이 없을 만큼 아이들에겐 선풍적 인기다.

아이들 뿐 아니다. 병원 의사나 간호사의 작업화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딴 직업군도 아닌, 의사들도 많이 신으니 별 문제 없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최근, 미국 학교에선 크록스 금지령까지 내려졌다. 아이들의 발 건강을 위해서도 크록스를 지양하라는 경고도 있다. 이유가 무엇일까.

최근 미국 복수의 매체들은 미국 수십 개 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시 크록스를 신는 것을 금지했다고 보도했다. 이유는 크록스를 신어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다치는 사례가 자주 발생했기 때문이다.

자주 뛰어다니는 아이들이 크록스의 재질 특성 상 넘어지기 쉽다. 실제 그런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자, 아예 안전상의 이유로 크록스 착용을 금지한 것이다.

크록스는 미국 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엄청난 인기다. 세계적인 인기 속에 크록스는 올해 초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고 주가도 지난 1년간 55%가 상승했다.

주부 A씨는 “초등학생 아이가 크록스가 편하다고 이거만 신으려고 한다”며 “거기에 장식품을 이것 저것 달았는데 그걸 사는데만 신발 값보다 더 들었다”고 말했다.

크록스는 어른들도 즐겨 신는다. 고무 재질로 바닥이 푹신해 장시간 서서 일하는 사람들이 선호한다. 그 중 의사, 간호사들의 필수 아이템이기도 하다.

tvN '슬기로운 의사생활'에 나온 배우들이 크록스를 신은 모습. tvN 제공
tvN '슬기로운 의사생활'에 나온 배우들이 크록스를 신은 모습. tvN 제공

서울 시내 한 정형외과 A전문의는 “서서 수술하는 시간이 길다보니 발이 편한 신발을 찾게 된다”며 “크록스는 발도 편하고 통풍도 잘 된다. 신고 벗기도 편해 나에겐 완벽한 작업화”라고 말했다.

편한 게 장점이지만, 사실 크록스가 발 건강에 좋지는 않다. 미 정형외과 의학협회 대변인인 프리아 파르타사라티 박사는 “크록스가 넘어지는 것 외에도 아치 지지대가 충분하지 않고 피부 표면에 습기를 유지해 물집이 생길 수 있다”며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해 하루 종일 신기에는 정말 좋은 신발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에겐 더 안좋을 수 있다. 아이들이 과도하게 크록스를 신는 걸 경계하라는 이유다.

크록스 매장. 독자 제공
크록스 매장. 독자 제공

크록스는 구조상 뒤축이 없어 발가락에도 무리를 주게 된다. 미국 일리노이 뼈관절 외과 의료원 메건 리히 박사는 “뒤꿈치가 불안하면 발가락에 힘이 들어가 발가락이나 발 모양이 이상해질 수 있고 힘줄염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발가락의 근육이 과도하게 사용되면 통증이 생기는 것은 물론 스트레스가 쌓이면서 염증도 생길 수 있다. 이는 크록스뿐만 아니라 뒤축이 없는 모든 슬리퍼류에 해당되는 점이기도 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