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 31일 공매도 재개…전산시스템 구축 속도
양방향 거래로 현·선물 가격괴리 개선 기대
외국인·기관 의견 수렴 거쳐 오는 8월 최종안 확정
[헤럴드경제=유혜림 기자] 공매도 재개 시점이 내년 3월 31일로 정해진 가운데 시장에선 외국인 투심 향방에 온도차가 여전하다. 내년 공매도 재개로 양방향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시장 변동성도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는 반면, 전산화 시스템 구축에 부담을 느끼는 외국인들이 얼마나 동참할지 의구심을 표하는 목소리도 함께 제기된다. 금융당국은 오는 8월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8월 중으로 공매도 전산시스템 최종 가이드라인을 확정할 방침이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전날 임시 회의를 열고 오는 30일까지로 예정돼 있던 공매도 전면 금지를 2025년 3월 30일까지 연장하기로 의결했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해 11월5일 불법 무차입 공매도가 증시의 공정한 가격 형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올 상반기까지 공매도를 금지한 바 있다. 앞으로 기관투자자는 매도 가능 잔고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체 전산 시스템을 구축해야 공매도 투자를 할 수 있다.
공매도란 주식을 우선 빌려서 팔고 나중에 사서 갚는 투자 방식이다. 주가가 내려야 수익을 낸다. 주로 기관과 외국인이 공매도를 하기 때문에, 다수 개미 투자자는 공매도를 주가를 끌어내리는 원흉으로 지목하기도 한다. 그러나 공매도가 주가를 기업 가치에 적합한 수준까지 빠르게 조정해준다는 학계의 옹호론도 만만찮다. 이러한 순기능 때문에 2020년 코로나 사태로 증시가 출렁였을 때도 미국과 일본, 영국 같은 선진국 증시에서는 공매도를 계속 허용하기도 했다.
시장에선 내년 공매도 재개로 시장 변동성이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공매도 전면 금지 이후 시장조성자와 유동성공급자들의 공매도를 통한 헤지(회피) 거래가 위축되면서 현·선물 가격 괴리가 지속됐기 때문이다. 특히 작년 말 공매도가 막힌 기관·외국인들이 선물 매도 전략으로 돌아서면서 선물 가격이 계속 낮아지는 백워데이션이 이례적으로 여러 개별 종목에서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가격 괴리가 길어지면 결국 고평가된 현물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의 손실로도 이어질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이와 관련, 정인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그간 공매도가 막히면서 선물 가격이 저평가된 상태로 유지되고 시장이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한 흐름이 나타났다”며 “시장이 정상화되기 위해선 차익거래가 잘 운영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선 공매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공매도 재개 조건인 전산화 시스템 구축을 두고 외국인이 얼마나 호응할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여전하다. 김동은 한국투자증권 홀세일본부장은 “이미 한국에 있는 많은 헤지펀드들이 한국 시장을 떠나 미국이나 해외 주식 시장에서 롱숏 플레이를 하고 있다”며 “이들이 한국 시장에서 자금을 철수시킨 지 상당히 오래된 만큼 시스템 부담을 생각해봐야 한다”고 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기관 내 잔고관리 시스템·내부통제 가이드라인안에 대해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 의견 수렴을 거쳐 8월 중 가이드라인 최종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내년 공매도를 재개하더라도 신흥국 지수에 속해 있는 한국이 바로 선진국 지수로 편입될 가능성 역시 불투명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앞서 MSCI는 지난 6일 ‘시장 접근성 평가’라는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공매도 접근성을 긍정적인 의미의 ‘플러스(+)’에서 개선이 필요한 ‘마이너스(-)’로 변경한 바 있다. 한 시황 연구원은 “재개 이후 MSCI가 공매도 접근성을 평가하더라도 최소 1년 정도 관찰 기간을 두고 판단할 가능성이 크다”며 “내년 연내 편입 기대도 어려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