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1월 18일 ICBM 화성-17형 발사 기념

北, 南 11월 말 예정 군정찰위성 발사 주목할 듯

北 ‘미사일 공업절’ 제정…18일 전후 3차 정찰위성 발사 가능성[신대원의 軍플릭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5일 지난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을 시험발사한 11월 18일을 기념해 ‘미사일 공업절’로 제정한다고 보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딸 김주애와 함께 신형 ICBM 화성-17형 시험발사 성공에 기여한 공로자들과 기념사진을 찍은 모습. [평양 노동신문=뉴스1]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10월 중 예고했던 3차 군사정찰위성 시험발사 버튼을 누르지 않았던 북한이 지난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을 쏘아 올린 날을 ‘미사일 공업절’로 제정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미사일 공업절을 계기로 군사정찰위성 재발사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상무회의가 진행됐다”며 미사일 공업절을 제정하는 문제가 안건으로 상정됐다고 보도했다.

안건은 전원 찬성으로 채택됐다.

신문은 미사일 공업절 제정과 관련 “세계적인 핵강국, 최강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보유국의 위용을 만천하에 떨친 주체111(2022)년 11월 18일을 우리식 국방발전의 성스러운 여정에서 특기할 대사변이 이룩된 역사의 날로 영원히 기록”한다며 “국가의 무진막강한 국력을 더욱 억척같이 다져나갈 당과 공화국 정부, 온 나라 전체 인민의 확고부동한 의지의 발현”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18일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신형 ICBM 화성-17형을 쏘아 올렸다.

비행거리는 약 1000㎞, 고도 약 6100㎞, 속도 약 마하 22로 탐지됐다.

북한은 당시 화성-17형이 최고고도 6049㎞까지 치솟아 4145초간 999.2㎞를 비행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북한의 미사일 공업절 제정은 3차 군사정찰위성 시험발사가 애초 예고한 10월을 넘긴 상황에서 이를 둘러싼 대내외의 의구심을 불식시키고 핵·미사일 개발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지난해 11월 18일 ICBM 화성-17형 성공발사를 기념하고 이를 통해 김정은 정권의 핵·미사일 보유의 정당성과 10월 예고한 정찰위성 발사 지연의 비판적 여론을 불식시키려는 것”이라며 “핵·미사일 개발의 지속적인 이슈화를 시도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 교수는 이어 “11월 18일 미사일 공업절 세리머니가 예상되며 이를 전후해 정찰위성 재발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정확한 날짜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국제해사기구(IMO) 등 국제기구에 발사계획을 통보하는 시점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달 말 예정된 한국군의 군정찰위성 발사 시기도 북한의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 시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양 교수는 “북한의 미사일 공업절 제정은 우리 군의 독자 정찰위성 발사 예고에 따른 맞불 성격도 내포하고 있다”며 “남북이 모두 11월 위성을 쏜다면 그 성공 여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성공하고 북한은 또다시 실패하면 정치적 타격이 예상된다”면서 “북한이 우리의 발사 전 쏘는 것이 유리할지, 후에 쏘는 것이 유리할지 판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지난 3일 국방부 출입기자단과 만난 자리에서 ‘425사업’의 일환인 군정찰위성 1호를 이달 말 미국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팰콘9 로켓 이용해 발사할 예정이라며 북한의 주요 위협을 군 독자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최초의 정찰위성 확보이자 국방 우주력 발전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신 장관은 특히 “북한이 연이어 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했는데, 우리 군정찰위성은 우수한 과학기술 역량을 증명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425사업은 북한의 주요 전략표적을 감시하고 대응하기 위한 군 독자 정찰위성 확보사업으로 구름 낀 날씨 속에서도 관측이 가능한 고성능 영상레이더(SAR)를 탑재한 위성과 전자광학(EO) 및 적외선장비(IR) 감시장비 장착 위성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