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능력시험 4급 이상 교사 태부족

교사 양성 시스템 개편·교재 보급 절실

‘고급’ 한국어는 가르칠 교사가 없다 [헬로 한글]

K-컬처의 선풍적인 인기로 외국인들의 한국어 교육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중급 이상의 단계에선 가르칠 교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한국어 교육이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신조어, 유행어, 구어체 등을 쉽게 배울 수 있지만, 일정 정도 수준 이상이 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6일 학계 등에 따르면, 중급 이상 고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 풀이 턱없이 부족하고, 이들을 양성할 수 있는 시스템도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진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한국어능력시험 토픽(topik) 3급 이하에서는 감당할 수 있는 교사들이 많으나, 4급 이상으로 가면 교사들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능력시험은 초급인 1, 2급과 중·상등급인 3~6급으로 나뉜다. 초급 단계는 듣기와 글쓰기 평가로 구성되어 있고, 고급 단계는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관한 텍스트를 이해하고 답할 수 있을 정도의 지식과 언어 능력이 필요하다. 고급 단계는 언어 뿐만 아니라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문화적인 부분까지 이해해야 하다 보니 쉽게 가르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윤 교수는 또 “지난 2022년 하반기부터 토픽에 한국어 말하기 부분이 추가됐으나, 전반적인 말하기 부분 향상을 위해서는 높은 언어 능력을 가진 교사 양성부터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따라서 한글교사 양성 교육 시스템 대대적인 개편 작업은 물론, 이에 따른 예산 투입이 절실하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현재 교육부는 외국에서 한국어를 제 2외국어로 배우는 학생들 위해 교재를 개발 및 보급하고 있다. 하지만 한글 교사 양성에 필요한 교재를 개발 보급하고 있지 않다. 외국인 한글 교사 양성이 교육부 소관이 아니라고 보기 때문이다.

정부 내에서 한국어 교사 양성의 전반적 콘트롤타워는 사실 문화체육관광부다. 문광부는 지난 2005년부터 일정한 요건을 갖춘 사람에게 한국어 교원 자격을 발급하고 있다. 이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국어를 가르치는 초중고 국어 정교사 자격증과는 별개다. 한국어 교원 자격증은 총 3단계로 나눠져 있는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학사 또는 온·오프라인 양성 과정을 이수한 후에 교육능력 검정시험에 합격하면 취득이 가능하다.

김지형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문화학과 교수는 “교육부에서 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것처럼 외국인 한글 교사를 양성하는 데에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지영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교원들이 ‘한글’과 ‘한국어’를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한국어는 언어이고 한글은 문자”라면서 “한글을 읽고 쓰도록 가르치는 것이 한국어 교육의 전부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영어 배울 때 영어 콘텐츠로 배우는 것과 같이 외국인들이 자신의 관심 분야를 통해서 한국어를 깊이 있게 공부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며 “이는 언어로서 한국어 교사의 부재를 의미하기도 한다”라고 덧붙였다.

교사 양성 시스템에 대한 문제와 함께 한국어 교사들의 저임금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2년 동안 한글 교사로 일한 이재은(53)씨는 “강사들이 주 4일 출근해 2번의 수업을 하는데, 돈은 강의한 시간으로만 받았다”며 해외 한국어 교사들이 처한 저임금 고용 구조를 지적했다.

김 교수 역시 “교사 처우 문제도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공론화 되어야 할 문제”라며 “적어도 같은 업계에 있는 사람들끼리 비슷한 수준의 급여는 보장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코리아헤럴드=박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