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67억달러

전체 수출의 12%

반도체 대비 61%

정치권에서는 횡재세 검토

그룹 실적방어 역할 주목 주장도

“정유 없었으면 어쩔 뻔”…반도체 절반 넘어선 석유 수출 [비즈360]
[게티이미지]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국내 정유사들의 석유 수출 규모가 국내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의 절반 수준을 훌쩍 넘어섰다.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반도체가 주춤한 사이 석유는 높은 가격이 유지된 데 따른 것이다. 반도체 수출마저 둔화되면서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적자가 66년 만에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석유 호조가 없었더라면 마이너스 폭이 더 확대됐을 것이란 관측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566억7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6% 늘었다. 하지만 수입이 661억5000만달러로 28.2% 증가, 무역수지가 94억7000만달러 적자를 보였다. 무역통계 작성이 시작된 1956년 이후 최대 마이너스다.

반도체 수출은 16개월 연속 100억달러 선을 웃돌았으나 소비자 구매력 감소와 과잉 재고 등에 따른 수요 약세로 26개월 만에 감소했다. 이에 반해 석유제품은 고가격 유지 속 항공유 중심의 세계 석유 수요가 이어지면서 66억7000만달러어치 수출됐다. 작년 동월대비 113.6%나 급증한 것이다. 8월 수출에서 석유가 차지하는 비중은 12%가 되고, 반도체 수출액 대비 61% 수준이다.

“정유 없었으면 어쩔 뻔”…반도체 절반 넘어선 석유 수출 [비즈360]
산업통상자원부 자료

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정유사들에 대한 횡재세를 검토 중이다. 횡재세란, 기록적인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정제마진 급등으로 정유사들이 예상을 뛰어넘는 초과수익(횡재)을 거뒀기 때문에 이의 일정 부분을 세금으로 환급 조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하지만 국내 정유사들은 석유제품이 필수 소비재라는 이유로 이윤에 대한 가혹한 잣대를 들이대는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업종간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또 이런 논리로라면 지난 2020년 코로나19로 수요가 급감하며 연 5조원에 달하는 적자를 기록했을 당시에는 정부의 손실 보전이 이뤄졌어야 했다는 입장이다. 과잉 적자는 외면하고 초과 수익에 대해서만 취해지는 정부의 조치가 공정성에도 위배된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정유사들은 내수보다 수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국내 제품에 대해서만 가격을 떨어뜨릴 경우 자칫 대내외 시장 교란이 발생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럴 경우 해외 바이어들로부터 신뢰를 잃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횡재세 도입으로 정유사들의 수익 하락시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위한 재원이 줄게 되므로 유가 변동에 따른 국민들의 고통 기간이 더 장기화될 수 있다고 피력하고 있다.

한 정유업계 관계자는 “횡재세 도입시 정유사는 생산할수록 이익이 줄어들게 되므로 공급을 줄일 가능성이 높아 도입 전보다 에너지 가격이 오르는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횡재세 도입을 유명무실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횡재세는 에너지에 대한 투자 축소로 이어져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는 악순환을 재반복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유사들은 수출 호조로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각자가 속한 그룹의 수익에 버팀목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그룹 입장에서는 다른 부분이 부진을 떨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정유 부문이 실적 급감을 막아주는 한편 친환경 등 미래 산업으로의 전환에 시간을 벌어주고 있는 셈이다.

SK㈜의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그룹 전체 매출(45조원) 중 정유사업을 맡고 있는 SK이노베이션(16조원)이 36%를 담당, 계열사 중 최고를 기록했다. 영업이익(1조6000억원)도 전체(7조원)의 24%를 차지, SK하이닉스(41%) 다음으로 많았다.

“정유 없었으면 어쩔 뻔”…반도체 절반 넘어선 석유 수출 [비즈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