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오징어 게임은 아무리 흥행에 성공해도 그 이상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넷플릭스의 선계약 구조는 나쁘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
“우리보다 (트래픽을) 훨씬 많이 쓰는 해외 기업도 그에 맞는 비용을 내야 공정한 경쟁이다”(이해진 네이버 글로벌책임투자자)
넷플릭스의 오징어 게임 수익 독식과 한국에서의 무임승차(망 사용료)에 대해 네이버와 카카오 수장들도 ‘저격’을 하고 나섰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은 넷플릭스의 계약 방식을 ‘나쁜 구조’라고 표현했다.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책임투자자(GIO)는 “똑같은 비용을 내는 것이 공정한 경쟁”이라며 ‘역차별’이라고 강조했다. 넷플릭스는 한국에서 망사용료를 내지 않겠다고 버티고 있다.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김범수 의장은 “넷플릭스의 선계약 같은 구조가 플랫폼 구조보다 나쁘다고 생각한다”며 “‘오징어 게임’은 아무리 흥행에 성공해도 그 이상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구조가 아니며 그런 의미에서 플랫폼을 지지하는 입장”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홍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오징어게임’의 성공을 언급하며 “우리도 넷플릭스와 같은 ‘선계약-후공급’으로 계약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는가”라고 질의한 것에 대한 답변이다.
넷플릭스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위해 사전 투자를 통해 제작비 일체를 제작사에 선(先)지급한다. 대신 판권, 저작권 등은 모두 넷플릭스가 가져간다. 흥행 여부와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흥행에 따른 추가 수익은 전부 넷플릭스의 몫이다.
이같은 넷플릭스의 계약 구조는 ‘오징어게임’이 전세계적으로 흥행하며 도마 위에 올랐다. 총 9부작으로 구성된 오징어게임의 제작비는 약 250억원으로 알려져 있다. 넷플릭스는 오징어게임 흥행으로 1조원 가량의 수익을 얻은 것으로 전해진다.
김범수 의장의 답변은 넷플릭스의 계약 구조를 ‘저격’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넷플릭스와 달리 일정 부분의 수수료를 지급하면 되는 플랫폼 사업 방식에 힘을 싣는 효과도 있다.
이해진 네이버 GIO는 넷플릭스의 망 사용료 미지급 논란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역차별 문제에 대한 고민이 있다”며 “우리가 망 비용을 낸다면 우리보다 (트래픽을) 훨씬 많이 쓰는 해외 기업도 그에 맞는 비용을 내야 공정한 경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네이버와 카카오는 매년 700억~1000억원 수준의 망 이용대가를 내고 있는데, 구글과 넷플릭스 같은 해외 기업들은 무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넷플릭스는 SK브로드밴드와 망 사용료를 둘러싼 법적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국회, 법원에서 해당 문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됐지만, 넷플릭스는 여전히 망 사용료를 지불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