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제조사의 양산체계, 항공사보다 UAM 상용화 앞당길 것

안전이 최우선…경비행기처럼 PAV 무게 낮춰 낙하산 탑재

연구조직 작지만 현대모비스 등 우군 든든…시장 선도 자신

[CES 2020] 신재원 현대차 부사장 “UAM, 2035년 본격 성장…현대차 경쟁력 충분”
현대자동차그룹 UAM사업부 신재원 부사장은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나 UAM 전략을 밝히고 있다. 그는 조직은 작지만, 계열사와 그룹의 역량 등이 경쟁사를 압도한다고 말했다. [현대차 제공]

[라스베이거스(미국) 정찬수 기자] “개인용 비행체 2023년부터 시범적으로 운영되더라도 2035년은 지나야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이다.”

현대자동차그룹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사업부 신재원 부사장이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나 도심 항공 모빌리티가 2035년 이후 본격적으로 개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는 완성차 제조사를 비롯한 글로벌 IT·전자 기업들의 화두다. 이번 ‘CES 2020’가 플라잉카(Flying Car)를 포함한 차세대 모빌리티를 주목할 기술로 꼽은 이유도 마찬가지다. 높은 관심을 보여주듯 현대차 전시관엔 개막 첫날 2009년 참여 이후 역대 최대인 4만4000명이 방문했다.

현대차는 작년 9월 미국 항공우주국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미래항공을 연구한 신재원 박사를 부사장으로 영입해 도심 항공 모빌리티 부문을 전담하는 부서를 신설했다. 이번 CES 무대에선 개인용 비행체(PAV) 콘셉트 ‘S-A1’을 공개하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전략도 발표했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 시장을 선점하고자 선제적으로 첫발을 내디딘 셈이다.

그는 “상용화 시점을 예측하기 어렵지만, 업계는 우버의 계획을 표준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시범적인 상용화 단계에선 조종사가 필수적이며 도시의 일정 지점에서 공항을 이동하는 식의 한정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차가 도심 항공 모빌리티 사업 분야에서 승산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로는 대형생산체제를 꼽았다.

신 부사장은 “개인용비행체를 아무리 잘 설계해도 양산체제를 구축하지 못하면 대중화를 이룰 수 없다”면서 “현재 항공사에서 운영하는 항공기는 2만5000대 규모로, 보잉의 대표 기체인 737의 생산량이 월 60대 수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항공사들보다 양산 체제를 갖춘 완성차 제조사들이 UAM 시장을 키우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쟁사와 비교해 연구조직이 작다는 지적엔 연구원 수보다 기업의 총체적인 역량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부사장은 “글로벌 스타트업과 달리 현대모비스 등 연관 부품사들을 보유한 데다 연구 역량도 경쟁사에 비해 손색이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고품질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체계를 갖췄고, 원가절감이 가능해 모든 사람이 누릴 수 있는 개인비행체를 누구보다 빨리 만들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안전은 타협할 수 없는 최우선 요소라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현대차가 선보인 개인비행체엔 8개의 로터를 탑재해 하나가 고장 나더라도 충분히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다”며 “일부 경비행기처럼 개인비행체의 무게를 낮춰 낙하산을 적용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설명했다.

관련 규제를 무조건 완화하기보다 보완하고 수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론도 밝혔다. 국토교통부가 2023년 시제기 개발 이후 2029년 상용화를 목표로 현대차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힌 만큼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신 부사장은 “기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관련 법규와 테스트 공간 등 정부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 많다”며 “기존에 있던 규제 역시 필요해서 만들어진 것이므로 어떤 규제를 어떻게 적용할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CES 2020] 신재원 현대차 부사장 “UAM, 2035년 본격 성장…현대차 경쟁력 충분”
‘CES 2020’ 현대자동차 전시관에 전시된 개인용 비행체 콘셉트 ‘S-A1’. [현대차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