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1위 렌딧 김성준 대표 “투자자 보호 규제 정비 시급” [헤럴드경제=김진원 기자] “기업 경영하는 사람으로부터 듣기는 어려운 말 일 수 있습니다만, 규제를 강화해야 합니다. 사람들은 규제를 풀어주면 모든 산업이 다 잘될 것 같이 말합니다. 그런데 투자자 보호라는 본질에 맞춰 갈 수 있도록 나사를 풀어야 할 부분이 있고 나사를 조여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국내 P2P 중 개인신용대출의 45%를 차지하는 업계 1위 렌딧의 김성준 대표는 대뜸 이같이 말했다.
한때 핀테크(Finance+Tech·금융과 기술의 결합) 열풍이 불었다. P2P금융(Peer to Peer)이 대표적이었다. 그런 P2P금융이 위기를 맞았다. 부동산 PF에 대출금을 묻었던 업체들은 경기 악화에 부도났다. 대출금을 돌려막기 하다 실패한 P2P업체 대표들은 해외로 도피했다. 수사기관이 나섰고, 민사소송도 이어진다. 위기를 극복할 방법은 없을까.
김 대표는 위기에 빠진 한국P2P금융협회를 탈퇴하고 새로운 P2P금융협회 준비위원회를 꾸렸다. 준비위의 진행상황에 대해 물었다.
“가장 문제가 됐던 것은 몇몇 불미스러운 사태가 터진 P2P업체들이 대출 자산과 회사 운영자금을 분리를 안 시켰던 겁니다. 자금 유용이 가능한 구조였지요. 새로운 협회의 핵심은 투자자 보호 입니다. 자산분리를 포함해 자율 규제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협회에는 자율 규제안을 따르는 업체들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데드라인을 설정하기는 힘들지만 해외 케이스 살피고, 국내 법체계 고려해서 최대한 빨리 자율 규제안을 발표하려고 합니다.”
김 대표는 수사기관까지 나서는 등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는 P2P업계의 문제에 대해 ‘기술’이 빠져 있다고 진단했다.
“P2P금융을 단순히 개인 간 금융이라고 해석해 대출자와 투자자를 연결하는(중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그보다 핵심은 대출에 대한 심사평가(여신) 입니다. 일반적인 제1금융권에서 4~5% 우량한 대출은 못 받지만, 제2금융권으로 가서 20%대 고금리 대출을 받을 필요까지는 없는 사람들을 분류해 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 지표들을 빅데이터로 종합 분석해야 합니다. 그런 기술이 없으니 P2P대출이라고 하면서 부동산PF 대출로 쏠린 겁니다.”
P2P금융을 중개와 여신의 복합 모델로 해석하는 융통성을 정부당국이 발휘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현재 정부는 P2P 금융회사들을 기존 법 체계에 맞춰 여신 회사와 중개 회사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다 중개 회사로 규정지었다. P2P회사들은 자기 자본 대출을 할 수 없게 막히면서 발목을 잡혔다.
P2P금융의 미래는 뭘까.
“사람들은 핀테크, 핀테크 합니다. 금융회사가 기술을 받아들여서 앱을 만들면 핀테크죠. 그런데 저희는 테크핀(Tech Fin) 이라고 스스로를 정의합니다. 기술회사입니다. 다만 다루는 콘텐츠가 금융일 뿐입니다. 일단 심사평가 모델을 고도화하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빅데이터가 쌓이고, 머신러닝을 고도화 하면, 인공지능이 오히려 신용평가는 더 정밀하게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