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광역두만강개발계획(GTI) 등 국제협력사업 통해 남북간 경제교류를 일으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남북간 산업협력 체제 구축을 위한 장기 로드맵을 수립·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가 10일 국내 남북경협 전문가와 기업인 150여명을 초청해 마련한 ‘남북 경협의 활로와 대응과제 세미나’에서 이 같은 방안이 제시됐다.

이날 세미나에는 김병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김석진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정형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원장, 남성욱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가 각각 주제발표자로 나섰다. 천길주 삼표 사장과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토론자로 참여했다.

김석진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최근 북한은 시장과 비공식 사경제를 활용하면서 국영경제 재건을 시도하는 이중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며 “장마당 확대 등 계획경제에서 이탈할 조짐이 보이지만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는 등 시장경제와는 차이가 있다”고 진단했다. 김 실장은 이어 “향후 북한경제의 진로는 장기적 저성장을 지속했던 저개발국의 보편적 추세와 비슷할 것”이라며 “제한적 개혁·개방이라서 고도성장은 어렵고 저성장 궤도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정형곤 대외정책경제연구원 부원장은 “북핵문제, 대북제재 등 남북관계 경색요인의 지속으로 경협환경이 단기간에 변화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며 “대화와 교류를 통해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고 경제적 통일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 부원장은 또 “남북 경제협력에도 선택과 집중, 확산 전략이 필요하다”며 “장기적인 한반도 산업배치 전략을 세워 유망 업종과 지역을 선정해 투자를 집중하고, 성과를 체감하도록 하면서 북한의 개혁ㆍ개방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성욱 고려대학교 북한학과 교수는 “기다리는 남북경협보다는 만들어가는 경협이 중요하다”며 “민간은 자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되 결과에 책임을 지고, 정부는 제도적 여건을 마련하는 것과 함께 당국간 협의를 통해 현안을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남 교수는 이어 “남북경협과 국제적 협력을 연계시키기 위해 광역두만강개발계획(GTI) 등에 다자간 협력을 확대·강화하는 한편 황금평 등 북중 협력 경제특구에 한국 참여방안을 검토하고 러시아와 철도·가스관 연결사업 추진에 북한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북한이 경제개발을 구상하고 있으나 자본과 물자가 부족해 한국과의 협력 없이는 성공이 불가능한 만큼, 북한의 경제개발구를 남북경협의 거점으로 육성하려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광복 70주년을 맞아 창조적인 경제협력 추진으로 경색된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모색하고 통일경제로 가는 큰 길을 열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천길주 삼표 사장은 “남북경협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남북관계의 안정화, 교역에 따른 리스크 해소나 분쟁해결을 담보할 실질적 대책 마련, 점진적 거래활성화로 상호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남북간 철도연결 사업을 중국의 일대일로(뉴실크로드), 러시아의 극동개발 등 동북아 발전 프로젝트와 연계해 남북간 경협 기회로 활용해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