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대문구에 거주하던 A씨는 최근 경기도 남양주시로 주거지를 옮겼다. 6개월 새 7000만 원까지 급등한 전셋가를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서울 시민들이 서울을 벗어나 남양주와 같은 인근 외곽지역으로 이주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서울 전세가격 급상승에 따라 이같은 ‘전세 난민’들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봉인식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2011년 1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이동한 수도권 신규 임차거래 약 238만건을 분석한 ‘수도권 임차가구의 주거이동 특성 연구’ 보고서를 통해 23일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년 간 수도권 전세거래는 13.5% 감소한 반면 월세거래는 8.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 기조 속에 임대시장이 전세에서 월세로 옮겨가는 트렌드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다.
전세거래의 경우 서울시에서 경기도로의 이주(8만7108건)가 경기도에서 서울시로의 이주(5만9794건)보다 많이 나타났다.
반면 월세거래는 서울시에서 경기도로의 이주(3만6879건)보다 경기도에서 서울시로 이주(4만5109건) 빈도가 높았다.
서울시에서 경기도로 가장 많이 이주한 지역은 남양주시로 나타났다. 반면 연천ㆍ가평군, 여주시로의 이주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지역별 임차거래는 서울시가 가장 많고 경기도, 인천시 순이었다. 세 지역 모두 거래량의 80% 이상이 다른 시ㆍ도와의 거래가 아닌 동일 지역 내 이동을 보이고 있다.
이동거리 분석 결과 전ㆍ월세 모두 2㎞ 미만이 전체의 약 55% 내외, 4㎞ 미만이 전체의 약 67%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월세거리의 평균 이동거리는 월 임대료 40~60만 원인 경우 7.3㎞로 가장 길고, 저소득층이 대다수인 20만 원 미만인 경우 4.9㎞로 가장 짧게 나타났다.
봉 연구위원은 “주택수요 변화에 대응해 단독주택, 타운하우스 등 새로운 주택 유형과 1~2인 가구 및 노인가구를 위한 다양한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남현 기자, 수원=박정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