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취약 비중 20.8%로 증가 조선·해운·건설업 비중 높아
중소기업 5곳 중 1곳은 재무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18년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기준 재무취약기업 수는 4469개로 외감 기업의 19.6%를 차지했다.
취약기업 수 및 비중은 2013년 4888개, 21.3%에서 지속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 이후 업황 호조와 그동안의 구조조정 노력 결과로 한은은 분석했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재무취약기업 비중은 20.8%로 나타났다. 전체 기업기준 비중(19.6%)이나 대기업 비중(13.8%)보다 높은 수치다.
지난해말 기준 금융권 전체의 재무취약기업 여신 규모는 150조6000억원에 달한다. 대체로 감소세지만 대기업이 중심이다. 재무가 취약한 중소기업의 여신 규모 비중은 25.6%로 전제 취약기업 수 비중(20.8%)보다 높다. 어려운 중소기업들이 더 빚에 의지한다는 뜻이다.
이런 가운데 기업신용은 중소기업대출을 중심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은행의 기업대출은 3분기말 826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5.1% 늘었다.
재무취약기업들은 영업활동현금흐름이 3년 연속 순유출되고 완전자본잠식에 빠지거나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미만인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연체가 발생한다. 폐업시점에 근접할수록 자본잠식 상태가 되거나 재무지표가 전반적으로 악화된다.
제조업 쪽에서는 조선, 기계장비, 전기전자 업종에서, 비제조업은 해운, 건설 업종에서 연체기업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품산업 등을 담당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업황 악화에 취약기업으로 전락하며 연체율이 높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은은 “일부 취약기업의 경우 향후 대내외 충격 발생시 경영상 어려움이 커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면서 “재무취약기업의 정상화 및 여신 관리 측면에서 여러 가지 재무지표가 장기간에 걸쳐 악화되기 이전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영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