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이 공시에 빠진 이유는 단연 ‘안정’

-청소년 10명중 3명 대학진학 포기, 한 원인

-이도저도 힘든 非진학청소년은 어려운 세상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 대학 진학 대신 이른 취업을 선택하는 흐름이 두드러지고 있다. 매학기 수백만원 씩 등록금을 내고도 취업난에 시달리느니 기술을 배우거나 공무원시험을 준비하겠다는 청소년이 늘고 있다.

온라인 10:00[조기 공시생 ②]대학은 돈들고, 취업길은 바늘구멍...‘非진학 청소년’은 괴로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지난 2015년 12월 발간한 ‘대학비진학 청소년 역량개발 정책사업 추진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23%였던 전체 대학 비진학률은 2015년 29%로 증가했다.

보고서는 ”2008년 외환위기 이후 대졸 청년 실업률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점수에 맞춰 애매한 위치의 대학에 진학하는 것은 등록금이라는 비용만 치를 뿐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이 팽배해졌다”며 비진학률 상승 요인을 분석했다.

[조기 공시생 ②]대학은 돈들고, 취업길은 바늘구멍...‘非진학 청소년’은 괴로워

실제로 연구진이 한국교육고용패널데이터(KEEP)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잠재적으로 대학 진학을 포기할 의사가 있는 청소년의 가정의 평균 소득은 2790만원으로, 대학진학을 준비하는 청소년의 가구소득 3200만원보다 25% 적었다. 이들 가구의 자산 규모 역시 34% 정도가 하위집단에 속했다. 대학 진학을 포기한 김지훈(가명) 군은 심층 면접에서 “집이 그렇게 잘사는 것도 아니고 2살 터울의 동생이 예체능을 해 돈이 많이 드는데 내가 대학을 가면 집이 좀 많이 어려워질 것 같아 대학을 포기했다”고 했다.

이들에게 대학 간판은 ‘스펙’이기보다는 ‘부담’이었다. 졸업생 박민국(가명) 군은 “제 등급으로 대학가봐야 고졸이나 비슷하다고 생각했고 지방대는 이력서 넣어봐야 바로 버려진다는 얘기를 들어서 그 돈 주고 가기에는 너무 아까웠다”고 했다.

이들은 공무원 시험을 대학 진학보다 매력적으로 여기기도 했다. 대학 대신 안정적인 공무원에 취직하라는 어머니의 권유를 받아들였다는 이은지(가명) 양은 “고졸이라도 일단 공무원은 들어가면 학력은 상관없을 것 같았다”고 했다.

그러나 대학 대신 택한 일자리는 이들에게 경제적 풍요를 보장하지 않았다. 일반고 출신 비진학자의 경우 졸업 이후 취업률이 10% 가량에 불과했다. 비진학 청소년 중 46.67%가 졸업 후 6개월이 지나도 아르바이트로 일하고 있었다. 취업한 이들 역시 70%가량은 4대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불안한 일자리를 갖고 있었다.

보고서는 “비진학 청소년 중 16%가량만이 직업교육을 받아봤다”며 “직업 심리검사와 직업체험 등의 맛보기식 프로그램 대신 진로 변경 전입학제와 실무 참여식 직업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