阿서 생산된 ‘분쟁광물’美·유럽 등서 규제강화… TFT 구성 발빠른 대응으로 거래선 확보

최근 세계적으로 분쟁지역 광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LG디스플레이가 발 빠른 대응으로 ‘분쟁광물 미사용 제련소’와의 거래비중을 대폭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의 광물’로도 불리는 분쟁광물은 콩고, 잠비아 등 아프리카 분쟁지역에서 유통경로를 장악한 지역 군벌이 민간인을 강제동원해 채굴한 광물이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은 자국과 거래하는 기업의 분쟁광물 사용을 대대적으로 금하고 있다.

‘한상범의 유비무환’…LGD  “분쟁광물 규제강화 문제없다”

5일 LG디스플레이가 최근 뉴욕증권거래소에 제출한 ‘분쟁광물 보고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2013년부터 사내ㆍ외 전문가로 구성된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해 자사 원재료 공급망의 분쟁광물 사용실태를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2013년은 LG디스플레이의 사령탑인 한상범<사진> 사장이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전격 승진(CEO 역할은 2012년부터 계속 수행)한 해이기도 하다.

LG디스플레이는 당시 ‘OECD 실사지침서’에 따라 분쟁지역 무장세력과 연관된 광물이 자사의 공급망을 통해 제조ㆍ생산되는지 대대적으로 따지는 한편, 법무ㆍ구매ㆍ재무ㆍ외부 컨설턴트 등으로 구성된 TFT를 조직해 ‘분쟁광물 규제 대응 프로세스’를 확립했다.

그 결과 2013년 500여개에 달했던 LG디스플레이 공급망 관계 제련소는 지난해 약 247개로 대폭 정리됐고, 분쟁에서 자유롭다는 것을 확인받은 ‘CFS 인증 제련소’와의 거래 비중은 36% (2013년)에서 62%(2014년)로 껑충 뛰어올랐다.

아울러 LG디스플레이는 1, 2, 3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분쟁광물 교육을 시행하고, ‘원산지 조사 수행 절차(RCOI)’를 직접 검토해 주는 등 상생에도 발벗고 나섰다. 전체 공급망을 단속하지 않으면 어느 곳에서 문제가 발생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최근 들어 주요 선진국들의 분쟁광물 규제 강도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EU 의회는 분쟁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석, 탄탈륨, 텅스텐, 금 등을 수입하는 업자들에게 인증을 의무적으로 요구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특히 분쟁광물에 강력한 규제를 하고 있는 미국이 그 대상을 콩고 등 아프리카 특정 국가에 한정한 반면, EU는 법 적용의 범위를 전세계 분쟁지역으로 확장했다. 즉 EU 측 바이어가 요구한 원산지증명에 미비하게 대응할 경우, 애써 구축한 거래선이 수포로 돌아갈 수도 있게 된 것이다.

최근 국내 산업계 일각에서 ‘분쟁광물 규제의 불똥이 국내 수출기업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업계 한 관계자는 “냉장고 파이프엔 텅스텐이, 세탁기 모터와 스마트폰에는 콜탄, 주석이 들어가는 등 거의 모든 전자제품이 분쟁광물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며 “국내에서는 LG디스플레이가 선제 대응에 나서 관련 성과와 노하우를 상당히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