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서경원ㆍ문재연 기자]인천 강화도 화재 사건으로 캠핑장의 안전 관리 문제가 부상한 가운데, 도심 한가운데에서 야영 분위기를 즐길 수 있는 캠핑 레스토랑도 화재 예방의 사각지대가 되고 있다.

실내외 장식과 물품들이 일반 캠핑 도구들과 동일한 가연성 재질로 이뤄져 있고, 레스토랑이 시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최초 진화까지 시간이 얼마나 지체될지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 일반 불이 나면 같은 건물 내 다른 상가들이나 인접 건물로까지 번질 수 있어 대형사고 가능성에도 고스란히 노출돼 있다.

24일 찾아간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A 캠핑 레스토랑은 층별로 소화기가 하나씩 비치돼 있었지만 스프링클러는 설치돼 있지 않았다.

테이블 등 인테리어는 불에 잘 타는 목재로 구성돼 있고, 바닥에 깔린 전기장판도 합선시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었다.

무엇보다 천장을 덮고 있는 마감재가 스티로폼이어서 불길이 옮겨 붙었을 때 삽시간에 번질 우려가 커보였다.

이 레스토랑의 주인은 이에 대해 “층간방음을 위해 외벽에만 붙여놓은 것”이라며 “화재 위험이 있는 주방은 전체가 대리석으로 돼 있어 화재가 발생해도 번질 우려가 적다”고 해명했다.

차종호 호원대 교수(소방방재학)는 “이번 강화도 사건처럼 캠핑 용품들은 순식간에 타버리기 때문에 캠핑 레스토랑 안에서 소형 소화기 하나로 불을 진압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오산”이라며 “또 캠핑장과 달리 시내에 위치해 있어 소방차가 출발해도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곳곳에 설치된 천막 텐트가 최초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데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차 교수는 “화재가 나면 연기가 천장까지 올라가 화재경보기를 울려야 하는데, 천막이 그 연기를 올라가지 못하도록 가둬 최초 위험 감지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진]캠핑 식당-copy(o)1-copy(o)1

비상탈출구 앞에는 의자들이 높이 쌓여 있어 화재시 문을 찾고 계단을 내려가는데 방해가 될 수 있어 보였다.

다른 캠핑 레스토랑들도 상황은 비슷했다.

마포의 B 캠핑 레스토랑은 야외에 있는 화덕 위에 천막이 설치돼 있어 불이 그대로 옮겨 붙을 수 있는 위험에 노출돼 있었고, 실내엔 테이블마다 그릴판이 설치돼 있었지만 스프링클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서울 용산의 C 캠핑 레스토랑은 가열도구가 없이 야외 주방에서 조리를 마친 음식이 서빙되는 방식이었지만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실내에 설치된 벽면 비닐막은 불에 약해 보였다.

비닐막 바로 옆에는 연탄 화덕 난로가 버젓이 자리하고 있었다.

[사진]캠핑 식당-copy(o)1-copy(o)1

캠핑 레스토랑을 자주 이용한다는 직장이 강모(27ㆍ여) 씨는 “그릴판 바로 옆에 난로가 있어 항상 걱정이 됐었다”며 “랜턴이나 텐트처럼 불에 잘 타는 장비들이 곳곳에 있어 화재에 더 신경써야 할 부분 같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캠핑 레스토랑에 대한 소방시설 규정 기준이 더 강화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차 교수는 “캠핑 레스토랑엔 펍(pub)이나 바(bar)의 개념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담배나 취객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이 높다”며 “현재는 일반음식점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는데 이보다 더 단속 기준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같은 상가나 일반 가정집으로도 불이 옮겨붙을 수 있어 화재 발생시 야외 캠핑장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