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한국생산관리학회 심포지엄…“집중 발주 위주 조달 방식 개선”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코로나19’ 사태가 글로벌 공급망에 심각한 위기를 불러온 가운데 기업들은 중요 협력사를 직접 관리하고 복수·대체공급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로컬(현지)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크게 설득력을 얻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같은 취지에서 7일 한국생산관리학회와 ‘글로벌 공급망(GVC) 위기 대응 민관합동 화상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GVC 체계에 위기가 발생함에 따라 국내외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GVC 재구축 전략을 논의하기위해 마련됐다.
허대식 한국생산관리학회장(연세대 경영대 교수)은 주제발표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각국 정부의 봉쇄 상황은 제조기업의 글로벌 공급망에 심각한 위기를 불러왔다”고 평가했다. 이어 기업 차원의 대응책으로 중요 협력사 직접 관리, 협력업체 네트워크 실시간 가시성 확보, 복수·대체공급원 확보와 공급망 복원성 강화, 경제블록 내 로컬 공급망 구축을 제시했다.
이준 산업연구원 소재산업실장은 패널토론에서 “코로나19 위기는 2008년금융위기 충격보다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크다”며 “GVC 변화에 선제 대응하는 국가와 기업이 코로나19 이후 경기회복과 기업 성장 측면에서 유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동헌 현대자동차 상무는 올해 초 자동차 부품인 와이어링 하네스(배선 뭉치)의 수급 차질로 국내 완성차공장이 가동을 중단한 사례를 언급, 집중 발주 위주의 자재 조달 방식을 개선하고 수급 안정성, 상시적·신속한 위험 파악, 표준화와 플랫폼 공유를 통해 복원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강경성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야기된 GVC 재편 상황은 한국 산업에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다”며 “강력하고 꾸준한 정책 추진으로 공급망 안정성을 높여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