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분석…OECD 16개국 중 통화 유통속도 하락률 1위
소득 증가할 수록 신용결제 선도…화폐수요 감소 등 이어져
[헤럴드경제 유재훈 기자] 저성장과 저물가로 인해 경제 전반에 돈의 흐름이 저하되는 ‘돈맥경화’가 발생하고 있어 기업친화 정책으로 경제활력을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9일 ‘통화 유통속도 추이와 정책 시사점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총통화(M2·평잔기준)로 나눠 구한 통화 유통속도는 2004년 0.98에서 지난해 0.72로 계속 하락했다.
세계은행 통계를 토대로 자료가 있는 OECD 16개국의 2018년 총통화 유통속도를 산출한 결과 우리나라가 하락률이 가장 컸다. 폴란드, 영국, 헝가리, 일본 등이 뒤를 이었다.
OECD 국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돈 회전속도는 성장률과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연동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01년 1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월별 자료로 GDP와 물가, 시장금리, 총통화가 유통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GDP가 1% 증가했을 경와 물가상승률가 1%포인트 상승 했을 때의 유통속도는 각각 1.3%와 0.8% 빨라졌다.
CD금리가 1%포인트 올라가거나 총통화가 1% 증가하면 유통속도는 각각 2.2%, 0.96% 하락했다.
한경연은 이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소득이 증가할수록 현금보다 신용결제를 선호하게 되고 이는 화폐 보유 수요 감소와 유통속도 상승으로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또 인플레이션이 높은 경제일수록 화폐보유 수요가 줄고 시중에 화폐 유통속도는 빨라지며, 은행 예금 이자율이 높아지면 예금보유량이 늘고 총통화가 증가하므로 돈 유통 속도는 느려진다고 덧붙였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 전략실장은 “만성 고혈압이 동맥경화를 심화시켜 건강을 위협하듯 경제활력 저하로 저성장·저물가가 이어지면 경제 기초체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성장 주체인 기업에 초점을 맞춰서 법인세 부담 완화와 투자·연구개발(R&D) 지원세제 강화, 노동시장 유연화, 규제 혁파 등 정책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