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지선, 진보 진영 트위터로 온라인 정치 시대 본격화 -2018년 유튜브 정치, 보수 진영 먼저 깃발 꽂아 [헤럴드경제=채상우ㆍ홍태화 기자]온라인에서 촉발된 정치 이슈가 여의도 실물 정치를 흔든다. 이명박 정부 초기 광우병 사태는 한미FTA 재협상으로 이어졌다. 또 박근혜 정부는 온라인에서 시작된 촛불이 광화문 광장에서 타오르면서 탄핵을 맞이했다. 문재인 정부도 온라인의 비판 여론에 ‘소주성(소득주도성장)’이라는 상징물이 애를 먹고 있다.
수 많은 여론 소통 방법 중 하나인 ‘온라인’이 실물 정치, 정부, 나아가 외교까지 흔드는 정치 ‘웩더독’이다.
온라인 정치의 시작은 2000년대 후반 소셜네트워크(SNS) 트위터가 큰 인기를 끌면서 본격적인 막을 올렸다. 이전에도 몇몇 의원들이 자신의 미니홈페이지나 블로그를 이용했지만, 단순 보도자료나 사진 배포 수단에 불과했다.
2007년부터 미국에서 시작된 ‘트위터 정치’는 2009년 한국에 상륙해 급속도로 퍼져갔다. 국내에서 가장 먼저 트위터를 시작한 정치인은 정의당의 전신인 진보신당 공동대표였던 심상정 의원(2009년 3월)이었다. 이후 2010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1년 새 약 140명의 국회의원이 트위터 정치에 발을 들였다.
이후 트위터 정치는 진보 진영을 중심으로 큰 효과를 거뒀다. 진보 진영이 트위터 정치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판을 뒤집을 ‘한 방’이 간절했기 때문이다. 거기다 진보신당의 경우 주요 공략층이 청년과 여성이었던 점도 트위터 정치에 몰두하게 만들었다.
이전까지는 국회의원과 소통이 힘들었던 국민들은 트위터를 통한 직접 소통에 크게 호응했다. 갑작스럽게 커진 영향력에 지방선거를 앞두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트위터를 통한 선거운동을 금지시키기도 했다.
온라인 정치 흐름은 페이스북을 거쳐 최근에는 유튜브로 넘어왔다. 유튜브 정치의 특이점은 트위터, 페이스북과 달리 보수 진영이 선점해 깃발을 잡은 데 있다. 자유한국당은 일찍이 2012년 ‘오른소리‘를 개설해 2만 9000명이라는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정규재TV(29만명), 윾튜브(26만명) 등 보수 진영 채널이 다양한 연령층과 각계 각층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민주당도 뒤늦게 지난달 29일 유튜브 채널 ’씀‘을 개설하고 운영을 시작했다. 시작은 늦었지만 2주 만에 가입자 수 1만1000명을 넘기며 가파르게 한국당을 쫓고 있다.
온라인을 통한 정치 활동은 부작용도 드러냈다. 광우병 괴담이나 세월호 참사를 두고 나온 온갖 음모론과 아니면 말고 식 음모론이 대표적이다. 전문가들의 객관적 검증은 생략된 채, 듣기 좋은 선동성 여론이 사람들을 파고 들었고, 다시 대규모 오프라인 시위와 다소 황당한 정치 주장으로 이어지곤 했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익명성이 보장된 가운데, 온라인의 위력이 증폭되다 보니 생기는 문제”라며 “익명을 전제로 수많은 사람이 마녀사냥을 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온라인 정치가 특히 야권에서 애용되는 것은 여권에 편중된 ‘기성 언론’의 문제가 불러온 반작용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보수 진영을 대변할 목소리를 내줄 니즈는 있지만, 주류 매체마저 이를 져버린 상황에서 유튜브만이 이를 해소해 주는 창구로 열려 있기 때문에, 유튜브에서 보수 진영이 성공할 수밖에 없다”며 “민주당은 여당인 만큼 여러 수단으로 여론에 목소리를 낼 수 있기에 유튜브에서 피로감을 줄 정쟁을 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