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신분과시용으로 빠르게 확산 -통제와 선전으로 오히려 체제 옹호 효과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의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4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스마트폰 사용자도 증가추세인 것으로 파악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일(현지시간) 북한에서의 스마트폰 보급 확대가 정권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있었지만, 북한의 ‘빅 브라더’ 감시시스템에선 오히려 체제 옹호 효과만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했다.

김연호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한미연구소 선임연구원이 북한과 이동통신 합작사업을 하고 있는 이집트 오라스콤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한의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400만명이었다.

이는 전체 북한 인구 2500만명의 약 6분의 1에 해당한다. 2012년에 비해 5년 새 4배가량 늘어났다.

北 휴대폰 가입자 400만명…스마트폰 사용자도 증가
[사진=헤럴드경제DB]

특히 스마트폰도 신분 과시용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스마트폰은 자체 생산 또는 중국에서 부품을 수입해 조립한 것들로 가격은 500달러까지 나간다.

최신형 ‘아리랑 터치’는 아이폰과 비슷한 모양이다.

그러나 북한의 휴대폰과 태블릿, 랩톱 컴퓨터 등은 북한 고유의 운영체제(OS)인 ‘붉은별’에 의해 통제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기능도 제약을 받는다.

북한 당국은 붉은별의 코드를 개발자 통제 아래 두고 당국이 특정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를 삭제하거나 이용자 간 파일 공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북한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접할 수 있는 콘텐츠라고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연설이나 요리법 등으로 국한된다.

온라인 거래도 150개 지역 판매업자들의 상품을 보여주는 수준이며 여행 정보도 북한 내 휴가지 소개에 그친다.

통화 내용은 물론 문자메시지와 사진 등도 감시대상이다.

프리실라 모리우치 전 미 국가안보국(NSA) 동아태 사이버안보부장은 “조지 오웰식 관점에서 북한의 감시체계가 혁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특권층은 북한이 자체적으로 구축한 인트라넷이 아닌 외부의 인터넷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들은 중국 통신업체 차이나 유니콤을 통해 외부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러시아 국영 통신업체 트랜스텔레콤도 지난 10월 북한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에서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되고 주민들이 외부 세계 정보를 접하게 되면 북한 정권에 위협이 될 것이란 기대도 있었지만, 현실에선 반대로 김정은 체제 옹호 효과만 낸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북한의 철저한 감시시스템 하에서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오히려 당국의 선전구호에만 노출된다는 것이다.

로스 러스티시 전 국방부 연구원은 “북한 주민들이 당국의 선전구호만 소비하는 상황에서 단기간에 정권을 뒤흔들 효과는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