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노원구청장

세계 도시들의 기후환경 협의체인 ‘이클레이(ICLEI) 서울총회’를 계기로 친환경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친환경정책은 현재의 삶을 미래에도 지속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현 세대보다 미래 세대에 초점이 맞춰있다.

미래에는 친환경도시가 최대 경쟁력이 된다는 얘기다. 실제로 스웨덴 벡셰는 ‘유럽 최고의 녹색도시’로 선망 받고 있고, 스웨덴 말뫼는 유엔환경계획(UNDP)에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해 유명해졌다.

국내에선 서울 노원구가 친환경도시의 모델이 되고 있다. 사실 거주 인구 58만3000여명인 거대 도시의 체질을 바꾼다는 것은 좀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주민 희생과 참여가 필요한 친환경정책의 경우 더욱 그렇다.

(구청장 인터뷰)한국판 ‘태양의 도시’ 노원구, 친환경도시 모델로 우뚝

하지만 노원구의 친환경정책은 서울 25개 자치구 중 으뜸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표적인 정책이 서울시가 추진하는 ‘미니태양광’ 보급사업이다. 다른 자치구는 시책을 따라가기 바쁘지만 노원구는 아예 자체 예산을 투입해 사업을 선도하고 있다.

지난해 노원구에 보급된 미니태양광 450가구 중 약 55%(249가구)가 노원구에서 보급한 실적이다. 노원구는 올해 서울시 목표인 1만 가구 중 33%에 해당하는 3300가구에 미니태양광을 설치하겠다는 계획이다.

태양광발전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의 도시’ 독일 프라이부르크가 노원구의 롤모델이다. 이클레이 서울총회에 참가한 대만 대표단은 친환경시설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노원구의 제로에너지하우스, 노원에코센터 등을 방문하기도 했다.

친환경정책을 이끌어가는 힘은 미래지향적인 리더십에서 나온다. 대통령이나 시장, 구청장이 얼마나 의지를 갖고 추진하느냐에 따라 친환경정책의 성패가 결정된다. 이런 점에서 김성환<사진> 노원구청장의 리더십은 높은 평가를 받는다.

김 구청장은 16일 인터뷰에서 “온실가스 증가로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기후변화”라면서 “사회구성원 모두의 공동책임이라는 인식과 시민이 참여하는 친환경행정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구청장은 올해 구정 운영 방향을 ‘녹색이 미래다’로 정했다. 1가구 1텃밭 가꾸기, 도시양봉사업, 음식물 쓰레기 제로화 등 마을공동체 복원사업을 통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친환경정책에 동참하도록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노원구의 미래를 책임질 다른 한 축은 ‘도시재생사업’이다. 창동차량기지(노원구 상계동) 일대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창동ㆍ상계 신경제중심지 프로젝트’는 서울시 최대 도시재생사업으로, 약 8만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노원구는 예상했다.

코레일과 추진하는 ‘광운대역 역세권 개발사업’도 지난해 사업자 공모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 올해 상반기 재추진할 계획이다. 김 구청장은 “노원구가 도심의 배후 주거지(베드타운)로 조성돼 지역 경제 활력이 제로(0)에 가깝다”면서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자족도시로 탈바꿈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진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