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저 밥 해주는 노예"…도시락 싸는 아내에 쏟아진 욕설
남편의 도시락을 싸는 콘텐츠를 하는 유튜버의 도시락 사진. [유튜브 캡처]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여성계에서 남편의 도시락을 싸주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한 유튜버에게 온갖 욕설을 쏟아내고 있다. 가부장제를 공고히 한다는 게 이유다. 온라인에서는 이를 두고 갑론을박이 뜨겁다.

13일 온라인 등지에서는 ‘남편 점심 만들기 유튜브, 뭐가 문제냐면요’라는 제목의 글이 확산하고 있다. 이 글은 지난 8월 독자 A씨가 한 인터넷 신문에 기고한 글이다.

남편의 도시락을 싸는 콘텐츠를 하는 유튜버의 도시락 사진. [유튜브 캡처]

A씨는 글에서 남편 점심 도시락을 싸주는 콘텐츠를 게재하는 한 유튜버를 언급하며 “누군가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시작한 행동이 다른 이에게 주는 파급력을 생각한다”고 말했다.

A씨는 “이 힘을 잘 들여다보면 ‘내조하는 여성’으로서의 가치를 치켜세우는 모순이 있다”며 “‘현모양처’ ‘참된 여성’이라는 말이 칭찬 댓글로 달릴 때마다 여성의 요리가 바깥일 하는 남편을 보조하는 역할로 고정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부부의 사적인 사랑도 사회 구조 안에 있다. 아침 7시에 집을 나서는 남편에 맞춰 새벽 5시에 일어나 냉장고 문을 열고 각종 제철 음식으로 채운 도시락은 사실 익히 봐왔던 ‘가부장제’의 단면”이라며 “남성은 일과 존중, 여성은 요리와 정성이라는 단어로 애정을 표현하는 게 이상적인 부부 모델로 굳어진다면 사람들의 인식 속에 가부장제가 회귀할 것”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천사 혹은 참된 아내라는 말이 칭찬이 되는 상황에서 누군가는 이 채널을 보고 살뜰히 내조하지 못하는 자신을 탓하게 되지 않을까. 요리 실력에 대한 감탄이 좋은 아내 프레임에 여성을 가두고 내조하지 못하는 여성에게 죄의식을 주는 것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A씨는 “결국 여성의 밥상을 받는 남성이 최고라는 말, 결혼해서 ‘큰아기·큰아들’이 되는 남성은 언제나 돌봄과 가정일에 무지해도 된다는 시그널이 유튜브를 통해 침투하게 된다”며 “여성의 요리를 다시 가정 안에, 남편을 보조하는 역할로 축소하는 흐름에 더더욱 동의할 수 없다”고 글을 마쳤다.

여성전용 커뮤니티에서도 이와 같은 비난의 글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한 커뮤니티에는 해당 유튜버를 저격해 "혼자 시종짓 하고 살아라", "자발적 노예", "밥 해주는 노예 그 자체", "무식한 얘들은 백날 말해도 모른다 우욱" 등 원색적인 욕설과 비난글이 이어지고 있다.

반면, 유튜버의 행동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목소리도 있다. 한 누리꾼은 "본인이 진정 사랑해서 하는 행동을 제3자가 나서 하지마라 하는 게 문제"라며 "유튜버가 '당신도 도시락을 싸라'고 강요한 것도 아닌데, 강요를 당한 것처럼 몰아가는 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평범한 일상의 행복조차 욕먹어야 하는 거냐"며 "다른 사람의 행복을 욕하는 당신들이야 말로 비참한 인생"이라고 일갈하기도 했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