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국내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ㆍ기아차는 지난달 이후 르노삼성의 중형 세단 SM5 TCE<사진> 차량을 2대 구입해 정밀 분석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9~11월에는 준중형 세단 SM3 3대를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가 르노삼성 차량을 구매해 분석 작업을 진행한 것은 지난 2010년 SM5 풀 체인징 모델이 출시 이후 사실상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ㆍ기아차는 남양연구소를 통해 1년에 150대 이상의 주요 수입차를 구입해 주행 테스트 등을 진행한다. 이 가운데 25대 정도는 2만개가 넘는 부품을 모두 해체, 약 3달간 정밀 분석한 뒤 참고 자료로 활용한다. 폴크스바겐의 7세대 골프 처럼 주로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차량이 구매 대상이다. 국내 자동차 시장의 73% 점유하고 있는 만큼 현대ㆍ기아차는 몇년 전부터 국내 경쟁 업체보다는 글로벌 경쟁 업체들의 차량 분석에 치중해 왔다.

우선 현대ㆍ기아차가 SM3를 구매한 것은 연비 때문으로 보인다. 르노삼성 뉴 SM3 는 신연비 기준으로 15.0 ㎞/ℓ를 인증받았다. 동급 경쟁 모델인 현대차 아반떼와 기아차 K3는 14㎞/ℓ. 지난 13일 출시된 5세대 아반떼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더 뉴 아반떼 디젤 조차 불필요한 공회전을 줄여주는 고급형 ISG(Idle Stop & Go)시스템을 기본으로 달고도 연비가 16.2㎞/ℓ 수준이다.
SM5 TCE의 경우에도 공인연비(13㎞/ℓ)가 현대ㆍ기아차 경쟁 모델(기아차 K5 2.0 터보 연비 10.3㎞/ℓ) 보다 높다. 이는 다운사이징을 통해 1.6ℓ 가솔린 직분사 터보 엔진을 장착했기 때문이다. 터보를 장착하지 않은 대표 중형 세단끼리 비교해도 무단변속기를 장착한 SM5 플래티넘이 12.6㎞/ℓ로 자동변속기가 들어간 쏘나타 및 K5 2.0 연비(11.4km/ℓ)를 능가한다.
국내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차량의 성능과 경쟁력을 연비만 가지고 평가할 순 없다”면서도 “하지만 최근 국내 완성차 업체 가운데르노삼성이 가장 연비를 잘 뽑아내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sonamu@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