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디플정 ‘복지위기 알림 앱’ 본격 운영
26일 시행...고립·건강 등 알림
본인·이웃 신청, 주민센터 연계
18곳 시범운영해 170여명 발굴
“민·관 매칭...복지안전망 구축”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

정부가 위기가구의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복지위기 알림 앱’ 운영을 시작한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본인뿐 아니라 이웃이 위기 상황을 관할 주민센터에 알릴 수 있도록 설계됐는데, 이를 통해 경제적 어려움 등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이 복지서비스를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복안이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디플정)과 보건복지부는 도움이 필요한 복지위기 상황을 쉽고 빠르게 알릴 수 있는 복지위기 알림 앱 운영을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복지위기 알림 앱은 경제적 어려움을 비롯해 건강 문제, 고립·고독 등 복지위기 상황을 휴대폰을 통해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개발한 앱이다. 앞서 디플정의 ‘국민체감 선도프로젝트’ 과제로 선정된 바 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보건복지부는 26일부터 도움이 필요한 복지위기 상황을 쉽고 빠르게 알릴 수 있는 ‘복지위기 알림 앱’ 운영을 시작한다. 복지위기 알림 앱 이용 절차.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제공]

해당 앱은 복지위기에 처한 본인뿐만 아니라 이웃도 신청할 수 있다. 본인 또는 이웃이 복지위기 상황과 도움이 필요한 내용 등을 앱에 작성해 신청하면, 신청 시 확인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관한 주민센터 담당자가 상담 등을 통해 복지서비스를 지원하거나 연계 방법을 찾는다.

또 사진 첨부 기능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담당자기 대상자의 위기 상황과 생활 여건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고, 신청자가 신원을 밝히기 꺼리는 경우에는 익명 신청도 가능하도록 했다.

복지위기 알림 서비스 업무 절차는 위기 상황 발견·도움 요청→ 접수·정보 매칭·지자체 배정→ 대상자 확인·상담과 서비스 제공 등으로 진행된다.

이와 관련 복지부는 4월 말부터 5월 말까지 서울 서대문구, 충남 아산시, 경기 수원시 등 전국 18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시행했다.

해당 기간 동안 접수된 위기 알림 대상자 189명 중 170명의 위기 정보가 확인됐는데, 이들은 단전·단수·체납 정보 등 위기 정보를 통해 분류, 위기 의심가구 선정된 이력이 없는 신규 가구였다. 복지위기 알림 앱을 통해 위기가구 발굴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게 복지부의 자평이다.

이승현 디플정 플랫폼데이터혁신국장은 “복지위기 알림 서비스를 통해 전 국민의 복지 사각지대 틈새를 메울 것”이라며 “민·관에 흩어진 복지 자원·서비스를 매칭·지원해 촘촘한 복지안전망이 구축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재우 기자

ko@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