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주역.송정역.상무지구, 도시 재생.혁신 거점으로 뜬다
도시재생.투자선도 지구. 도심 융합 특구 사업 본격화
광주역

[헤럴드경제(광주)황성철기자] 광주역·송정역·상무지구 일원이 그동안 침체와 정체에서 벗어나 도시재생, 혁신 거점으로 도약을 시도한다. 11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들 지역에는 도시재생 뉴딜, 투자 선도지구, 도심 융합 특구 등 개발 방식이 확정돼 세부 계획이 수립 중이다.

광주역 일대는 2025년까지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 도시재생 혁신지구, 민간복합 개발 사업을 통해 호남권 최대 창업 단지로 변신한다. 지난 1월에는 마중물이 될 '어울림 팩토리' 건립 공사가 시작됐다. 20억원을 투입해 광주역 인근 지상 4층, 연면적 542㎡ 규모 유휴건물을 리모델링해 소상공인 등 입주 공간으로 활용한다.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 사업의 하나로 350억원이 투입되는 빛고을 창업 스테이션 건립 공사도 이달 말 착공한다. 광주역 뒤쪽 1만4천000㎡에는 앞으로 5년간 1천688억원을 투입해 그린, 디지털 등 창업·혁신기업을 집적화하는 도시재생 혁신지구가 조성된다. 광주역 철도시설 이전, 재배치를 통해 확보되는 공간에서는 코레일이 참여하는 개발 사업이 추진된다.

송정역 일대는 투자 선도지구로 개발된다. 국토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광주송정역 KTX 지역 경제거점형 투자선도 지구'는 산업, 업무, 주거 등 융복합 지구가 될 전망이다. 송정역을 중심으로 한 1구역(3만1천778㎡)은 교통, 환승 체계 등 기반 시설을 개선해 국토 서남권 광역교통 허브 기능을 수행하도록 육성한다. 송정역 뒤쪽 2구역(52만8천649㎡)에는 빛그린 산단과 연계한 자동차 산업 연구·지원시설, 주거·상업 단지가 생긴다.

광주시는 국토부의 투자선도 지구 사업 지정·고시에 따라 계획 수립, 승인 절차 등을 거쳐 2022년 토지 보상, 2025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무지구는 삶, 일, 여가를 연계한 복합 인프라를 갖춘 도심 융합 특구 선도 사업지로 지정됐다. 85만㎡에 판교 제2테크노밸리의 모델을 적용해 기업과 청년들에게 매력적인 복합혁신 공간을 제공한다. 2025년까지 창업·성장·벤처·소통·교류 공간과 혁신 기업·글로벌 공간을 조성한다.

광주시는 최근 도심 융합 특구 기본계획 수립과 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에 착수했다. 내년 초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23년 토지 보상에 들어가 2024년 착공할 예정이다.

hwang@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