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주 건설경기 위축에 경제지표 악화 우려
건설투자 1% 감소하면 지역내총생산도 하락
광주·전남 중견 건설사인 한국건설이 은행에 중도금 이자를 내지 못하는 등 유동성 위기설이 불거지면서 아파트 분양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광주 남구 봉선동에 짓고 있는 한 아파트 건설 현장. 연합뉴스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우려에 따른 건설경기 위축 여파를 최소화하려면 공공 부문 생활 인프라 수요 확대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12일 광주연구원이 발간한 '광주 정책 포커스'에 따르면 건설 투자가 현 상태에서 1% 이상 감소할 경우 지역내총생산(GRDP) 성장률은 0.54%P 이상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진은 광주 건설투자가 495억∼1187억원 감소할 경우를 가정하면 생산액은 606억∼1455억원, 부가가치액은 242억∼581억원, 취업 인원은 558∼1339명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2022년 기준 광주 건설업 종사자 수는 모든 산업의 10.9%(광역시 평균 7.3%), 생산액은 GRDP의 4.7%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컸다.

건설업과 부동산업 사업체 수는 각각 1만6000개(9.4%)·9천개(5.4%), 종사자 수는 7만3000명(10.9%)·2만5000명(3.7%), GRDP는 2조1000억원(4.7%)·3조9000억원(8.7%)이다.

저성장 국면과 고금리 장기화 등 부정적 거시경제 상황에 어려움이 가중돼 광주 건설경기는 공사비 증가, 주택 구매심리 위축, 건설수요 감소 등으로 당분간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고 광주연구원은 전망했다.

2022년 기준 광주 건설업과 부동산업의 부채 비중도 각각 20.2%, 46.0%로 광역시 평균(8.8%·30.3%)을 크게 상회했다.

연구진은 공공부문 생활형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수요 확대, 대·중소 건설업체 동반성장 기회 창출, 데이터 기반 건설정보 관리 등 고도화, 건설산업 발전 정책 포럼 출범 등 대책을 제언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