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주 병원 미복귀 전공의 200명 수사…“동부경찰 전남대병원·북부경찰 조선대병원 맡아”
의대 정원 증원 정책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에 들어간 지 사흘째인 2월 22일 오전 광주 동구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광주)=황성철 기자]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에도 병원으로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들에 대한 수사와 행정처분이 본격화됐다.

5일 광주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지역 수련병원인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 미복귀 전공의들에 대해 본격적인 수사 채비에 들어갔다.

광주에서는 본·분원을 합쳐 전남대병원 미복귀 전공의가 160여 명, 조선대병원이 100여 명 상당으로 파악됐다.

이에따라 광주지역 수사대상은 최대 200명 이상인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경찰은 “아직까지 미복귀 전공의들에 대한 고발장이 경찰에 접수되지는 않았다”면서도 “정부의 수사의뢰시 여타 사건보다 신속하게 수사에 나설 방침이다”고 말했다.

경찰은 본격적인 수사에 앞서 일선서 지능범죄수사팀에 전공의 집단행동 관련 전담 수사 인력을 꾸리고 있다.

동부경찰서가 전남대병원, 북부경찰서가 조선대병원을 각각 맡아 고발 사건을 처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경찰은 전공의 집단행동과 별개로 지역 의대생들의 휴학동맹에 대해서도 위법행위가 없었는지 등을 살핀다.

현재 광주에서는 동맹휴학에 참여한 의대생이 전남대 570여 명, 조선대 600여 명 수준으로 집계됐다.

전남대 의대는 학사 일정을 오는 25일에 재개하기로 했고,. 조선대 의대도 학사 일정을 연기하고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이날부터 근무지를 이탈한 전공의들에 대해 면허정지 사전통지서를 발송하고 있다.

정부는 의료 현장을 이탈한 전공의에 최소 3개월의 면허정지 처분을 내릴 방침이다.

면허정지 처분을 받으면 전문의 자격 취득 시기가 최소 1년 늦춰진다.

이날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어제에 이어 오늘도 수련병원 현장점검을 통해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업무개시명령 위반 사실확인 작업을 하고 있다”며 “어제 7000여명에 대한 미복귀 증거를 확보했고, 추후 의료법에 따른 행정처분을 이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