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남 선거구 ‘현행대로’ 유지 전망…“영암·무안·신안 선거구 그대로”
국회 본회의[뉴시스]

[헤럴드경제(무안)=황성철 기자] 4·10 총선 전남 최대 현안인 선거구가 여·야 합의로 변경 없이 현행대로 그대로 유지될 전망이다.

순천 분구와 영암·무안·신안 공중분해도 없던 일이 돼 이번 총선은 4년 전 21대 총선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29일 국민의힘 윤재옥·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는 김진표 국회의장 주재로 회동한 뒤 비례의석을 1석 줄이고 전남 순천은 분구 없이 현행대로 유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 수정안을 통과시키기로 합의했다.

전남 순천은 그동안 강원·경기·서울과 더불어 이번 총선 ‘4대 특례구역’으로 분류돼 왔다.

여·야는 이를 토대로 이날 정개특위와 본회의를 거쳐 선거관리위원회 획정안에 대한 수정안을 최종 의결한다.

중앙선관위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지난해 12월 국회에 제출한 획정안에 따르면, 광주·전남은 18개 선거구 중 광주는 변함이 없고, 전남은 의석수 10개는 유지하되, 동부권은 4→5석, 중·서부권은 6→5석으로 바뀌게 된다.

순천·광양·곡성·구례 갑과 을은 순천 갑과 을로 나누고, 광양·곡성·구례 선거구를 따로 두는 방식이다.

영암·무안·신안은 공중분해시켜 영암은 해남·완도·진도와 합치고, 무안은 나주·화순, 신안은 목포와 합쳐 각각 나주·화순·무안, 목포·신안 선거구로 조정한다는 방안이었다.

하지만 이날 여·야 합의로 순천 분구가 백지화되면서 자연스레 영암·무안·신안 공중분해 등 중·서부권 선거구 조정도 없던 일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선관위 획정안이 의결될 경우 농어촌 소멸과 지역 간 갈등이 심히 우려된다”는 반발 여론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남 중·서부권에서는 선관위안대로라면 동부권에 5개 선거구를 배정해 선거구당 15만1406명이지만, 중·서부권은 5개 선거구당 21만1935명을 배정해 인구 비례 원칙에 위반된다며 획정안 철회를 요구해왔다.

특히 중·서부권은 1개 선거구에 3-4개 지자체가 포함돼 농·산·어촌의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농 불균형만 심화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선거구가 그대로 유지되면 그동안 우려했던 ‘깜깜이 선거구’로 인한 예비후보와 유권자, 캠프 관계자, 선관위의 혼란과 혼선, ‘원정 선거운동’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선거구 조정 시 예상됐던 더불어민주당 서삼석(영암·무안·신안)과 신정훈(나주·화순) 의원 간 ‘재선 의원 빅매치’도 없는 일이 됐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