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제강제동원피해자 “학교 보내준다고 속아 인생을 송두리째 빼앗겼다”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의 구술 사진전이 개최
‘아직도 사과·배상도 못 받아 억울하다’
15일 오전 광주시청에서 일제강제 징용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이경석 할아버지가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식을 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광주)=황성철 기자] 제78주년 광복절을 맞아 일제강제 징용 피해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강제 노역 피해자들의 얼굴이 담긴 팻말을 들고 슬픔을 함께했다.

15일 광주시청 1층 시민홀에서 강제동원 피해자 31명에 대한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의 구술 사진전이 개최됐다.

이 자리에는 정부의 제3자 변제’ 해법을 수용하지 않은 강제동원 배상 소송 원고인 양금덕 할머니·이춘식 할아버지, 징용 피해 당사자인 이경석 할아버지·오연임 할머니가 참석했다.

강제 노역을 한 장소와 시기는 저마다 다르지만, 징용 피해에 대한 아픔은 동일하다는 듯 이들은 피해자 31명의 얼굴이 새겨진 팻말을 어루만지며 슬픔을 나눴다.

주름과 함께 곳곳에 검버섯이 핀 초상화, 생년월일, 연도별 징용 피해 사실이 담긴 자신의 팻말 앞에서는 발걸음을 떼지 못하기도 했다.

13세의 나이로 만주 펑텐성 남만방적 노무자로 동원된 오연임 할머니는 “81년 전 그날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면서 “학교에 보내주겠다는 꿰임에 넘어가 인생을 송두리째 빼앗겼다”고 말했다.

오 할머니는 “강제 노역을 하는 3년 동안 기숙사와 공장만 오가다 보니 햇빛을 보지 못했다”며 “노역의 대가로 닭 모이 한 줌을 받았고, 그것마저 빼앗아 갔는데, 그런 일본은 배상은커녕 아직 사과도 안 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22살 이팔청춘의 나이에 일본 이바라키현 군인 농경근무대로 끌려간 이경석 할아버지는 “군부대에서 도망치다 일본군에 잡히면 본보기로 삼는다며 거꾸로 매달고 매질했다”며 “부대원 30명은 먹을 것이 부족해 탈이 나기 일쑤였다”고 회고했다.

또 다른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는 “인생의 마지막 소원이 있다면 일본으로부터 사과를 받는 것이다”며 “아무리 가난하게 살아도 우리나라가 주는 돈은 받지 않겠다, 그 돈 받고 살아서 뭐하냐”고 강조했다.

400여명의 참석자 대표로 무대에 오른 양 할머니는 서훈을 받지 못한 김범수 독립운동가의 손녀인 김행자 씨, 최만년 애국지사 손자인 최장훈 씨와 함께 태극기를 들고 만세삼창을 했다.

15일 오전 광주시청에서 열린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일제강제 징용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왼쪽에서 두번째)가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연합]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