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럴드경제·남도일보 공동취재단(나주)=황성철 김갑제 기자] 한국전력이 인력 축소와 경비 절감을 위해 올 1분기에만 400명이 넘는 정원을 감축했다.
줄어든 정원이 현장에서 송·배전 등을 담당하는 기능직 실무직급에 집중돼 안전 문제에 우려를 낳고 있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전에 따르면 한전의 올 1분기 기준 총 정원은 2만3320명으로 지난해 말(2만3728명) 대 비 408명 줄었다.
구체적으로 1직급(가·나 포함, 359명) 정원은 2명, 2직급(1083명) 16명, 3직급(3714명) 39명, 4직급(1만2127명) 112명, 5급, 기타(5576명) 323명, 무기계약직 4명이 감소했다.
광주전남본부에서도 올 5월까지 상당수 감축됐는데 모두 5직급이고, 임원(7명)은 변동이 없다.
문제는 이번 정원 감축의 가장 큰 비중이 기능직 등 실무 직급에 집중했다는 점이다.
기타 직급으로 분류되는 5-6직급의 정원 감축 비중은 지난해 말 대비 5.4%에 이른다.
이는 2직급(1.4%), 3직급(1.0%), 4직급(0.9%) 등과 비교해 최대 4%포인트나 차이가 난다.
이들은 실제 송배전을 포함한 배전정보시스템(NDIS) 데이터관리 등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필수 실무 인력이다.
실무직급의 정원이 줄면서 안정적인 업무에도 지장이 우려되는 부분이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실제 송배전 등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인력이 줄어들 경우 업무 가중화 및 안전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따라서 앞으로 업무 가중도 불가피하고, 줄어든 인력만큼 신규채용 일정도 미지수다.
한전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약 1600여명의 필수 증가 소요 인력을 자체적인 인력 재배치를 통해 해결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변전소 무인화, 로봇 및 드론 등을 활용해 자동화에 나선다고 하지만 구체적인 이행 시점은 아직 미정이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대규모 적자로 올 상반기 대졸 신입 채용을 사실상 보류한 상태고, 올 하반기 일정도 불투명하다.
인원 감축이 현장 실무직급에 집중돼 있고, 신규 인력 채용 계획도 없으며 대안인 자동화 이행 시점도 미정이여서 업무 가중화로 인한 한전의 안전 문제가 도마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