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주 쓰레기 소각장 입지에 1000억원 지원
6만6000㎡·주민동의 50% 이상
광주시청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광주광역시가 오는 2030년부터 시행되는 생활 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에 대비해 친환경 자원회수시설(소각장) 입지 후보지 공모 절차에 돌입했다. 시는 입지 지역에는 1000억원 규모의 주민 편익시설 등을 지원한다.

광주시는 650t 규모의 친환경 자원회수시설(소각)의 설치를 위한 입지 선정계획 결정·공고를 내고 입지 후보지를 공개 모집한다고 26일 밝혔다.

자원회수시설(소각)은 2030년 가연성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와 발생지 처리 원칙에 대비하고 광주시 자체 처리 역량 강화를 위한 필수 기반시설이다. 광주시는 지난해부터 관련 용역을 통해 시설계획 등을 검토해 왔다.

신청 후보지는 부지면적 6만6000㎡(자연녹지지역 기준) 이상 확보할 수 있는 곳으로 토지이용계획에 제한을 받지 않는 지역이어야 한다.

응모는 신청부지 경계로부터 300m 이내 주민등록상 세대주를 대상으로 50% 이상의 주민동의를 얻은 자치구, 개인, 문중대표, 단체 등이 할 수 있다. 공모 참여 희망자는 6월 23일까지 구비서류를 갖춰 광주시 자원순환과로 방문 접수하면 된다.

광주시는 주민 수용성을 위해 주변 지역 등에 1000억원 이상을 지원할 계획이다. 600억~800억원을 투입해 편익시설을 설치하고, 주민숙원사업과 입지 자치구 교부를 위한 500억원 등 특별 지원을 추진한다.

또 유치를 희망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설명회와 타 지역 선진시설 견학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타 지역 사례 등을 통해 시민 우려를 불식시키고, 시설의 필요성과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 주민 수용성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것이다.

광주시는 상반기 중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입지후보지 신청결과에 따라 입지후보지 타당성 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입지선정위원회를 거쳐 최종 입지를 선정한다.

입지가 선정되면 편익시설 등을 포함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설계, 공사 등 관련 행정절차를 순차적으로 추진한다.

입지선정계획 결정·공고 내용은 광주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는 광주시 자원순환과 자원시설팀(062-613-1682)으로 하면 된다.

손인규 광주시 자원순환과장은 “자원회수시설(소각) 설치는 도시환경 역량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역점사업”이라며 “입지 선정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추진하고 시설을 유치한 지역에는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