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잠깐’ 간병했다고 상속분 더 요구” 4명 중 1명은 상속으로 ‘가족 분쟁’
하나금융연구소 ‘중산층의 상속 경험과 계획’ 보고서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50대 남성 A씨는 10년 전부터 형제들과 사이가 멀어지기 시작했다. 아버지가 돌아가시며 3억원 정도의 자산을 남겼지만, 유언이 따로 없었던 것이 계기였다. 장남인 A씨는 똑같이 나눠 가지는 것을 제안했지만, 임종 전 아버지를 잠깐 간병했던 동생은 “고생한 것에 비해 충분치 않다”며 더 많은 돈을 요구했다. A씨는 “동생과 사이가 틀어져 아직까지 서먹하다”면서 “머지않아 어머니가 돌아가시게 되면 상속 문제로 또 마주칠 생각에 한숨이 나온다”고 말했다.

중산층 상속 경험자 4명 중 1명가량이 상속 과정에서 가족 간 재산 분할 분쟁의 어려움을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생전에 상속 관련 사항을 정리하지 못해서 일어난 사례다. 심지어 이같은 경험을 하는 이들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며, 보유 자산 규모가 큰 베이비부머 세대의 자산 이전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중산층의 상속 경험과 계획’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대한민국 금융소비자보고서 2024 조사 데이터를 토대로 총자산 상위 50% 이상을 기준으로 한 설문조사 등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속 경험자에게 상속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는지를 조사한 결과 약 23%가 ‘가족 간 재산 분할 분쟁’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응답은 ‘상속에 대한 준비 부족과 상속 절차상의 어려움(46%)’이었다. 뒤이어서는 법률 및 세금 문제에 대한 지식부족(41%), 상속세 등 경제적 부담(29%) 등이었다.

아울러 자녀에게 자산을 물려줄 계획이 있는 중산층 10명 중 8명은 상속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상속 준비의 적절한 시점에 대해 60대는 아플 때, 40대는 ‘가능한 빨리’라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상속 시점에 가까워져서가 아니라 미리 자산 이전을 준비하려는 인식으로 바뀌고 있다고 설명했다.

준비가 필요한 이유로는 ‘절세’(46%)를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자녀에게 경제적 안정 제공(34%), 노후 생활자금의 원활한 운용(29%), 법적 갈등 예방(23%) 등을 언급했다. 최근에는 증여를 활용해 향후 상속세를 줄이려는 움직임도 늘고 있다. 설문 결과 상속은 보통 부모로부터 1~2회 정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증여는 40대 31%, 60대 이상 9%로 젊은층에서 2회 이상 증여 받은 경험이 이전 세대보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비과세 한도 내에서 자산을 분할해서 자녀에게 물려주거나 부동산 등 자산가치가 떨어졌을 때 미리 자녀에게 이전해 줌으로써 절세하려는 의도로 파악된다”고 부연했다.

자산 이전에 대한 관심은 늘어나고 있으나, 전문가에 도움을 청하는 경우는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상속을 계획하는 중산층의 60%는 상속을 스스로 준비할 의향을 보였으며 그보다 적은 40%가 전문가의 도움을 계획했다. 하지만 상속을 경험한 경우 스스로가 아니라 전문가의 도움을 받겠다는 의향이 미경험자보다 1.3배 더 높았다.

황선경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자산이전은 가족 관계에 민감한 영향을 미치고 노후 설계와도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일회성 이벤트에 그칠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며, “세무·법률가를 통한 상담 외에도 금융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상속 전문 서비스를 통해 현명한 노후 준비 전략을 세울 수 있다”고 밝혔다.

w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