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대글로비스 “2030년까지 9조원 규모 투자…매출 40조 시대 열겠다” [2024 CEO 인베스터 데이]
‘현대글로비스 2030 성장 전략’ 발표
2045년 탄소중립 달성 목표 제시
배당 확대 등 주주가치 제고방안도 공개
이규복 대표 “전략적 필요에 따라 인수합병도 전략 검토”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가 2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열린 ‘2024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중장기 사업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 제공]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현대글로비스가 오는 2030년까지 9조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 집행을 골자로 하는 ‘현대글로비스 2030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현대글로비스는 2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2024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하고 투자자와 애널리스트 등을 대상으로 신사업을 포함한 중장기 사업 전략 및 주주환원 확대 정책을 제시했다. 현대글로비스가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먼저 현대글로비스는 2030년 목표 매출을 ‘40조원+α’로, 영업이익률은 7%로 제시했다. 전체 투자액 가운데 기존사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물류 사업에 36%, 해운에 30%, 유통에 11%로 나눠 집행하고, 남은 23%는 신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투자에 투입할 계획이다.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는 “공격적 매출 성장과 함께 수익률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것”이라며 “기존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동시에 연평균 1조3000억원가량의 핵심 자산 투자로 지속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가고, 전략적 필요에 따라 인수합병 방식의 성장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대글로비스 자동차운반선(PCTC) 글로비스 센추리호. [현대글로비스 제공]

현대글로비스는 ‘현대글로비스 2030 성장 전략’의 실천 과제로 ▷자동차 공급망 관리(SCM) 솔루션 독보적 지위 강화 ▷글로벌 E2E(End-to-End) 솔루션 전략 사업화 ▷톱티어(일류) 해운 경쟁력 강화 ▷스마트 물류 솔루션 사업화 및 체질 강화 ▷친환경 전략소재 자원순환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중장기 전략의 효율적인 운영으로 회사의 타깃 시장을 기존 ‘자동차 산업군’에서 ‘산업 전반’으로 확장하겠다는 구상이다.

먼저 현대글로비스는 그룹사 전담 솔루션 공급자로 역할을 수행하며 동반 성장하면서 신생 전기차 제조사와 아시아계 완성차 회사 등을 적극 공략하고 글로벌 비계열 매출 확대 전략을 펼칠 계획이다.

또한, 회사의 지속 성장을 위해 종단 간(E2E) 물류 솔루션 사업을 적극 추진, 2030년까지 회사 전체 매출 중 비계열의 비중을 40%까지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자동차선 선대규모를 2030년 128척까지 늘리고, 향후 시장성 높은 액화천연가스(LNG) 및 액화석유가스(LPG) 해상운송에도 뛰어들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가용 자원을 적극 투입해 신사업으로 육성 중인 스마트 물류 솔루션 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공격적으로 전개 및 확장해 매출 성장의 한 축으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현대글로비스는 선제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사용후 배터리의 전략적 글로벌 거점 설립하고, 관련 기술 경쟁력을 내재화해 2040년 북미·유럽·국내 시장 기준 시장 점유율 2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2045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로드맵 수립 작업도 한창이다. 올해부터 도입한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추진 엔진이 탑재된 자동차 운반선 등 선박 외에도 2035년에는 무탄소 선박을 도입하고, 2040년 국내외 전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지속 확대해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현대글로비스 탄소중립 전략을 담은 ‘넷 제로 스페셜 리포트’. [현대글로비스 제공]

현대글로비스는 이날 배당정책 확대 등 주주가치 제고 전략도 제시했다. 먼저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해 향후 3개년간 신규 배당정책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배당정책이 기존 ‘전년도 주당배당금(DPS)의 5~50% 상향’에서 ‘전년 대비 배당금 최소 5%상향&배당성향 최소 25% 이상’으로 신규 변경된다.

현대글로비스는 배당성향 최소치인 25%를 가정해도 2027년 주당배당금이 2023년(6300원) 대비 100% 이상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대1 무상증자도 실시된다. 무상증자를 통해 발행 주식 수량이 3750만주에서 7500만주로 늘어난다. 신주 배정 기준일은 7월 15일이고, 신주는 8월 2일 상장된다. 현대글로비스는 주식 수량이 확대되면서 주당 가격이 현 수준의 2분의 1로 낮아져 일반 투자자의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규복 대표는 “2030년 중장기 목표 달성을 위해 회사 구성원 모두 최선을 다하고 이 같은 회사의 성장이 주주에게도 즉각적으로 이어지도록 시장과 투명한 소통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글로비스는 올해 실적 가이던스를 매출 26조~27조원, 영업이익 1조6000억~1조7000억원으로 제시했다.

likehyo8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