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선이 그린 ‘동네 어르신 잔치’ 서화첩, 보물됐다
정선 필 북원수회도첩. [국가유산청]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진경산수의 대가인 겸재 정선의 초기작이자 기록화인 ‘정선 필 북원수회도첩’이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이 됐다.

28일 국가유산청은 정선 필 북원수회도첩을 비롯해 ‘도은선생집’, ‘영덕 장륙사 영산회상도’와, ‘영덕 장륙사 지장시왕도’,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등 총 5건을 보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정선 필 북원수회도첩은 조선 숙종 재위 42년인 1716년, 과거 급제 60년을 맞아 공조판서를 지낸 이광적(1628~1717)이 9월 16일 잔치를 치른 뒤, 이어 10월 22일 장의동의 집에서 같은 동네 노인들을 모아 ‘기로회’(耆老會·나이가 많아 벼슬에서 물러난 사람들의 모임)를 연 것을 기념해 제작한 서화첩이다. 이 행사는 정선의 외삼촌 박견성이 주도해 열렸다.

총 20장 40면으로 구성된 서화첩 맨 앞에는 ‘북원수회도’가 수록돼 있다. 참석자 명단인 좌목을 비롯해 시문, 발문도 적혔다. 좌목에는 기로회 참석 대상이 나이순으로 표기돼 있으며, 이어 좌목에 이름을 올린 사람들의 시가 모임에 앉은 순서대로 수록돼 있다.

도은선생집. [국가유산청]

전남대학교도서관이 소정한 도은선생집은 고려 말의 학자인 이숭인(1347~1392)의 시문집이다. 1406년경 태종의 명령으로 변계량이 시집 3권과 문집 2권으로 엮고 권근이 서문을 지어 금속활자로 간행했다. 이번 지정대상 본은 그 후 다시 목판으로 판각해 인출한 것이다. 이미 보물로 지정돼 있는 다른 목판본 도은선생집과 달리, 권근을 포함한 주탁·정도전의 서문과 이색·장부·고손지의 발문을 전하고 있다. 이숭인의 시문뿐 아니라 고려사·고려사절요와 태조실록·태종실록 등에서 확인되지 않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영덕 장륙사 영산회상도와 영덕 장륙사 지장시왕도는 기록을 통해 1764년(영조 40)이라는 제작 연대와 화승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다. 특히 한 사찰 내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불사에 참여했던 화승들이 분업과 협업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영덕 장륙사 영산회상도. [국가유산청]
영덕 장륙사 지장시왕도. [국가유산청]

영산회상도는 수화승으로 참여한 두훈의 완성된 화풍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성스러운 빛을 세밀한 꽃무늬로 장식한 표현과 짜임새 있는 구도 등 그의 특징이 드러난다. 이와 함께 지장시왕도는 전수가 유일하게 수화승으로 참여한 작품으로, 전반적 양식은 1744년에 제작한 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와 시왕도를 계승하고 있으나, 섬세하고 개성 있는 자세와 표정을 짓고 있는 시왕상, 여러 가지 빛깔의 구름을 적극 응용한 구도 등에서 작자의 개성이 드러난다.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은 본존불 바닥면에 있는 조성 관련 묵서를 통해 1614년(광해군 6)이라는 제작 연대, 수도각승 각심 제작자, 아미타여래·관음보살·대세지보살로 구성된 아미타여래삼존으로 조성되었다는 사실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상이다. 본존불 규모가 186cm에 이르는 대형 불상으로, 왜란 이후 새로운 불교 중흥의 의미를 담아 기백 넘치는 조형성이 특징이다. 17세기 전반기에 제작된 불상 중 아미타여래삼존상으로는 보기 드문 예라는 점에서 미술사적인 의미가 있다.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국가유산청]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