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軍, 北 다탄두 성공 주장에 “실패 덮는 기만”…TOD 영상 공개
합참 “TOD 영상에서 北 미사일 공중 폭발 모습 식별돼”
北 다탄두 시험 주장 미사일 상승단계부터 비정상 비행
합참은 28일 북한의 지난 26일 다탄두미사일 관련 시험 성공 주장에 대해 폭발이 확인됐다며 기만이라고 일축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공개한 개별 기동 탄두 분리 및 유도조종시험을 위한 미사일 발사 장면. [평양 노동신문=뉴스1]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군은 북한의 지난 26일 다탄두미사일 관련 시험 성공 주장에 대해 폭발이 확인됐다며 기만이라고 일축했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28일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은 상승단계부터 비정상적인 비행 양상이 식별됐다”며 “이러한 비행 불안정성이 미사일의 폭발을 야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합참 관계자는 “그러나 북한은 화성-17형과 유사한 형상의 미사일 발사 사진을 공개하면서 중장거리 고체탄도미사일 1단계 엔진을 이용한 개별기동 전투부 분리 시험과 유도조종 시험을 했다고 주장했다”며 “이에 대해 한미는 실패를 덮기 위한 기만·과장이라고 평가했다”고 말했다.

군은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 준비 징후를 사전에 탐지해 이를 감시하고 있었다.

북한이 지난 26일 오전 5시30분께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같은 시각 우리 군의 대탄도탄 감시레이더와 지상 감시자산에 의해 탐지됐다.

특히 전방부대에서 운영하는 열상감시장비(TOD)로 촬영한 영상에서는 미사일이 상승단계부터 동체가 비정상적으로 회전하는 현상을 보이다 공중에서 폭발하는 모습까지 찍혔다.

군은 이를 통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극초음속미사일 성능 개량을 시험발사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는 판단을 내린 바 있다.

반면 북한은 전날 관영매체를 통해 미사일 기술력 고도화 목표 달성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는 개별기동 전투부(탄두) 분리와 유도조종시험을 실시했다면서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개별기동 전투부는 다탄두로 분리돼 표적을 타격하도록 유도제어하는 ‘다탄두 개별목표설정진입체’(MIRV)를 의미한다.

이 때문에 북한이 대형 발사체와 함께 소형 탄두, 정확한 유도 등 고도의 기술이 정밀하게 제어돼야 하기 때문에 ‘궁극의 미사일 기술’로 불리는 다탄두미사일 개발에서 진전을 이룬 것 아니냐는 관측이 뒤따랐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이나 화성-18형, 그리고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 계열을 다탄두미사일화 해 미 본토를 공격할 경우 워싱턴DC와 뉴욕을 동시에 때리는 시나리오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북한 관영매체가 공개한 사진에서 액체연료를 쓰는 화성-17형과 유사한 미사일의 화염이 직선 형태가 아닌 고체연료가 연소할 때처럼 넓게 퍼지는 형태로 나타나 합성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은 이번에 실패한 미사일의 재발사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군은 후속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