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F-22 랩터, 한국 공군 F-35A와 함께 날았다…北 도발 속 대북 경고
北 오물풍선 이어 극초음속미사일 발사 시도했지만 실패
韓美 공군 30여대 전투기 적 무력화 항공차단작전 수행
공군은 26일 한국의 F-35A와 KF-16, F-16, 그리고 미 공군 F-22와 F-16 등 30여대의 전투기가 참가하는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현존 최강의 스텔스전투기로 평가받는 F-22가 한국 공군 전투기와 함께 훈련한 것은 지난달 16일 이후 42일만이다. 자료사진. [공군 제공]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이 잇단 대남 오물풍선 살포에 이어 극초음속미사일 발사를 감행하는 등 한반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은 미 공군의 F-22 랩터가 참가하는 연합공중훈련을 펼쳤다.

공군은 26일 한국의 F-35A와 KF-16, F-16, 그리고 미 공군 F-22와 F-16 등 30여대의 전투기가 참가하는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현존 최강의 스텔스전투기로 평가받는 F-22가 한국 공군 전투기와 함께 훈련한 것은 지난달 16일 이후 42일만이다.

F-22와의 연합공중훈련은 대대급 연합공중훈련인 ‘쌍매훈련’ 참가전력들의 훈련성과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한미 공군은 24일부터 오는 28일까지 청주기지와 충주기지에서 쌍매훈련을 진행중이다.

이날 미 F-22를 포함한 한미 공군 전투기들은 동부지역 상공에서 적 군사력이 아군에게 피해를 주기 전 지연 혹은 무력화시키는 항공차단작전을 펼쳤다.

한국 공군의 KF-16과 미 공군 F-16이 가상적기 역할을 맡아 실전과 같은 임무 환경을 조성했다.

특히 한미 공군 전투기들은 연합편대군을 이뤄 작전과 임무절차를 숙달함으로써 4세대·5세대 전투기들의 연합작전 수행능력을 향상시켰다.

훈련이 끝난 뒤에는 한미 조종사들이 한 자리에 모여 전술토의를 하며 훈련 성과를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토의하는 시간도 가졌다.

훈련에 참가한 제17전투비행단 F-35A 조종사 박영민 소령은 “F-22 등 미 공군과 한팀이 돼 훈련하면서 원팀·원골(One Team·One Goal)의 팀워크와 자신감을 배양할 수 있었다”며 “이번 값진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철통같은 영공방위태세 유지에 더욱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북한은 24일과 25일 밤 이틀 연속 대남 오물풍선을 날려 보낸데 이어 26일 오전 5시30분께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극초음속미사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나 실패했다.

북한의 미사일은 평양에서 목표인 알섬으로 향하다 원산에서 70~80㎞ 떨어진 동해상에서 폭발해 궤적을 상실한 것으로 알려졌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