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시아 "북러 조약, 한국 겨냥 아냐…차분히 수용 기대"(종합)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서명했다.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한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에서 2시간 30분가량 이어진 일대일 회담을 마치고 이 협정을 체결했다. [AP]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러시아 정부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체결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이 한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25일(현지시간)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한국이 이번 조약을 차분히 받아들이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언급은 북러간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조약 체결에 따른 후폭풍으로 한러 관계가 냉각한 와중에 나온 것이다.

루덴코 차관은 "(이번) 조약은 한반도 및 역내 전체 문제를 군사적 수단으로 해결하기를 바라거나 그럴 계획이 있는 국가들에 보내는 일종의 경고"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조약이 한국이나 제3국들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고 재차 강조하면서 "이미 어려운 동북아 지역 상황을 약화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루덴코 차관은 "우리는 한국이 새 협의를 이해심을 갖고 수용하길 기대한다"며 "그리고 러시아와의 관계를 포함, 건전한 접근이 힘을 얻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서명했다.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한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에서 2시간 30분가량 이어진 일대일 회담을 마치고 이 협정을 체결했다. [타스]

앞서 북러가 군사동맹을 사실상 부활했다는 평가를 받는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조약 체결로 레드라인을 넘자 우리 정부는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재검토라는 초강수로 대응했으며, 이에 푸틴 대통령이 "아주 큰 실수가 될 것"이라며 '상응 조치'를 거론하며 보복경고로 맞대응하면서 양국 관계의 긴장은 최고조에 달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23일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재검토 방침과 관련, "러시아가 고도의 정밀 무기를 북한에 준다고 하면 우리에게 더 이상 어떤 선이 있겠는가"라며 "러시아 측이 하기 나름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고 언급했다.

푸틴 대통령은 다만 지난 20일 북한과 베트남 순방 결산 기자회견에서 한국에 보복을 경고하면서도 "조약상 군사적 원조는 오직 침공, 군사적 공격이 있을 때 적용되기 때문에 한국은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면서 "내가 알기론 한국은 북한을 침공할 계획이 없기 때문에 우리의 이런 분야의 협력을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며 상황관리에 나서는 듯한 발언도 내놓은 바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달 초에는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직접 지원하지 않는데 대해 사의를 표하며 관계 개선 의지를 표하기도 했다.

루덴코 차관은 스푸트니크 통신에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과 관련해서는 "그러한 방문을 위한 모든 필요한 조건이 맞고, 이 단계에서 서명돼야 할 서류들을 위한 특정한 기반이 진전되자마자 방문이 이뤄질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고 말했다.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 평양 외곽 평양 순안국제공항에서 미소를 짓고 있다. [AP]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 평양 외곽 평양 순안국제공항에서 미소를 짓고 있다. [AP]

다만 구체적인 방문 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9일 방북 기간 북러 정상회담을 시작하면서 "김 위원장의 이번 방북 초청에 감사하다며 "다음에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리기를 바란다"고 초청 의사를 밝혔다.

회담을 마친 뒤 언론발표에서도 김 위원장에게 "모스크바에 답방하기를 기다리겠다"고 재차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방북 기간 북한 측의 환대에 감사를 표하면서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을 환영한다고 밝혔다고 크렘린궁이 전날 발표한 바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한 노동신문 1면과 조선중앙통신 등에 실린 '감사전문'을 통해서도 "당신은 러시아 땅에서 언제나 기다리는 귀빈이라는 것을 잊지 않기를 바란다"며 김 위원장에 대한 방러 초청 의사를 거듭 시사했다. 김 위원장이 모스크바 답방에 나선다면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네 번째 만남이 이뤄지게 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