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엔비디아 그리고 글로벌 인공지능 랠리
자본시장 상반기결산②-해외주식
순매수 2.4조·보관액 18.2조 ‘1위’
시총도 한때 4629조원 세계 1위
‘일학개미’ 상반기 순매수액 최대

‘엔비디아 그리고 글로벌 인공지능(AI) 랠리’.

올 상반기 글로벌 주요 증시로 향했던 개미(소액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트렌트를 설명하려면 빠질 수 없는 주요 키워드다.

글로벌 AI ‘대장주’ 엔비디아는 상반기 들어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보유한 해외 주식 종목으로 우뚝 섰다. 반기 기준 종목별 순매수액에서도 엔비디아는 사상 최초로 1위 자리를 차지하기도 했다. AI 랠리라는 달리는 초고속 열차 위에 올라타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던 셈이다.

다만,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AI 랠리에 대한 ‘거품론’과 함께 조정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하반기 해외 주식 시장을 향한 투심이 어떻게 변화할 지 관심이 집중된다.

▶상반기에만 엔비디아 2.4조 순매수...보관액 18.2조=25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SEIBro)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월 1일~6월 24일 기준) 국내 투자자의 해외 주식 순매수액 1위 자리는 17억2386만달러(약 2조3927억원)를 기록한 엔비디아가 차지했다. 엔비디아가 반기 기준 종목별 순매수액 1위 자리를 차지한 것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올해 상반기가 처음이다.

‘서학개미(서구권 주식 소액 개인 투자자)’ 들의 강력한 엔비디아 선호 현상은 해외 주식 종목별 보관액 순위에서도 나타났다. 지난 20일 기준 엔비디아 보관액은 131억4164만달러(약 18조2406억원)로 1위를 기록, 오랜 기간 서학개미의 ‘원픽(최선호주)’이던 2위 테슬라(110억3991만달러, 약 15조3234억원)와 격차를 갈수록 벌이는 모양새다.

엔비디아에 서학개미의 투심이 집중된 이유는 AI 랠리 대장주로서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지난 24일(현지시간) 종가 기준 엔비디아 주가는 118.11달러로 올해 들어서만 145.19% 상승했다. 이마저도 지난 18일(현지시간) 종가 기준 135.58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을 때보다 3거래일 만에 12.89% 하락한 수치다. 엔비디아 주가의 하락은 그동안 급상승한 데 따른 차익을 실현하려는 매물이 출현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8일(현지시간) 엔비디아는 시총이 3조3350억달러(약 4629조원)까지 치솟으며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을 제치고 처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에 오른 바 있다. 24일(현지시간) 기준 엔비디아 시총은 2조9055억달러(약 4033조원)로 다시 3조원 선 아래로 내려 앉으며 MS(3조3272억달러, 약 4618조), 애플(3조1916억달러, 약 4430조원)에 이어 3위를 기록 중이다.

▶AI株·ETF에 쏠린 투심...S&P500·나스닥 지수 상승에도 베팅=엔비디아를 비롯한 미 증시 AI 관련 ‘빅테크’ 종목의 동반 상승세에 베팅하는 개미들의 움직임 역시 활발했다. 올 상반기 해외 주식 순매수액 3·6·9위에 각각 AI 관련주로 꼽히는 MS(5억3398만달러, 약 7412억원), 그래닛셰어즈 1.5X 롱 엔비디아 데일리 상장지수펀드(ETF, 2억8836만달러, 약 4002억원), 브로드컴(2억5574만달러, 약 3550억원)이 각각 이름을 올리면서다.

해외 주식 종목별 보관액 순위표 상단을 살펴보면 이런 현상은 더 뚜렷했다. 3위 애플(46억3673만달러, 약 6조4358억원), 4위 MS(39억3376만달러, 약 5조4601억원), 6위 알파벳A(25억6955만달러, 약 3조5665억원), 9위 아마존(16억5052만달러, 약 2조2909억원) 등 AI 개발 관련 성과와 연관된 주요 단일 종목 뿐만 아니라, 미 대표 반도체지수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20억1889만달러, 약 2조8022억원) 상장지수펀드(ETF)까지 7위에 올랐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들어서만 각각 14.87%, 18.49%씩 오른 S&P500, 나스닥지수의 추가 상승세를 기대하는 투자 움직임도 주목할 지점이다.

미국 주식을 사들이는 국내 투자자들이 늘면서 해외주식 보관액이 지난 19일 기준 951억7642만달러(약 132조1525억원)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중 미국 주식이 861억531만달러(약 119조5572억원)로 90%을 차지했다.

최근 엔비디아 주가가 연일 하락하면서 잠잠하던 ‘AI 거품론’이 다시 부각될 조짐이다. AP통신은 “AI 열풍이 너무 과열돼 주식 시장의 거품과 투자자들의 지나친 기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짚었다.

다만, 여전히 다수의 전문가들은 AI 대표주가 한동안 시장을 주도하며 지수 대비 높은 수익률을 내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놓는다. 김성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S&P500 시총 상위 10개 기업의 최근 1년간 이익 증가액은 지수 전체 종목 이익 증가액의 63%에 이른다”면서 “AI 투자의 진입장벽과 기술 집약적 성격에 따른 이익 독점 등의 특성상 향후 AI 투자 사이클에서 과실 역시 대부분 기존 빅테크가 독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신동윤 기자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